
중증 장애학생(심한 지체장애 및 뇌병변 장애)이 대구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과정으로 이어진 9년간의 학업을 마치고 영예의 박사학위를 받는다.
9년간 그를 헌신적으로 가르쳐 온 지도교수도 이달 말 퇴임으로, 그와 함께 마지막 졸업식을 갖고 정든 교정을 떠난다.
주인공은 대구대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언어청각장애아교육 전공의 유장군 학생(27)과 초등특수교육과의 최성규 교수(65).
유장군 학생은 오는 21일 경산캠퍼스 성산홀 강당에서 열리는 대구대 대학원 학위수여식에서 문학 박사학위는 물론 우수연구상, 총동창회장상을 받는다.
9년간 동고동락한 두 사람은 서로의 관계를 한마디로 “콜라병 뚜껑을 따주는 사이”라고 표현했다.
콜라를 너무 좋아해 ‘콜라대장’이란 별명을 가진 유장군 학생은 혼자서는 콜라병 뚜껑을 따기 어려운 심한 지체장애를 가졌지만, 최 교수는 항상 그의 곁에서 콜라병 뚜껑을 따주던 스승이었다.
이들의 인연은 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장군 학생은 지난 2016년 대구대 초등특수교육과에 입학하며 사제지간이 됐다.
유장군 학생은 심한 장애는 물론 가족이 없는 불우한 가정 환경으로 어렵게 대학 생활을 했다.
정부 지원금으로 생활하던 그가 대학원에 진학을 위한 입학금(300만원)이 없어 고민할 때 그 돈을 대 준 것도 최 교수였다.
최 교수는 20여 년간 교수 생활을 하며 유장군 학생과 같은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7600만 원의 장학금을 기부한 참스승이었다.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였지만, 서로 의견이 안 맞았던 적도 있었다.

4학년이 된 유장군 학생을 위해 최 교수는 교원 임용시험 준비를 권했지만, 유장군 학생은 대학원 진학을 고집했다.
최 교수 본인도 어려운 가정형편 속에서 어렵게 공부했기에 유장군 학생이 교사가 된 후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미래를 준비할 것으로 조언했지만, 제자의 고집을 꺾지 못했다.
또한 청각장애 분야를 전공자였던 최 교수는 대학원에서 유장군 학생이 자신의 장애와도 연관이 있는 ‘지체장애’ 분야를 공부할 것을 권유했지만, 유장군 학생의 선택은 최 교수였다.
그는 학부 생활을 무사히 마친 것도, 대학원에서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것도 최 교수의 가르침 덕분이라 생각했다.
그만큼 학업에 남다른 열의를 보였다.
자신이 좋아하는 수업은 청강을 하면서 일곱번까지 들었던 적도 있었다.
이러한 학업에 대한 열정으로 유장군 학생은 박사과정 재학 기간 중 7편의 논문을 단독 또는 제1저자로 게재했고, 이 중 2편은 국제학술지인 스코퍼스(SCOPUS) 등재지에 게재됐다.
특히 최성규 교수와 유장군 학생은 ‘장애인 교원의 교직입문 전과 후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연구’ 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해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학술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이제 유장군 학생과 최성규 교수는 ‘마지막 졸업식’을 맞는다.
‘졸업은 또 다른 시작’이라는 말처럼 졸업을 앞둔 유장군 학생과 퇴임을 앞둔 최성규 교수는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
유장군 학생은 “박사과정을 마치고 교수님의 조언대로 교원 임용시험을 준비할 예정이다. 경제적으로 자립한 후 미국 유학을 다녀와 최성규 교수님과 같은 교수가 되는 것이 목표다”면서 “지금까지 공부하는 데 도움을 준 학과 교수님과 친구들, 시설 관계자 여러분에게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대학 강단을 떠나 청각장애인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실천가로 활동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