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중국 정부가 이르면 오는 5월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을 해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7년 한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시행된 지 8년 만의 조치다.
한 언론매체는 중국아태합작중심 고위 관계자는 인터뷰를 통해 “다음 달 민간 문화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하는 것을 시작으로 문화 교류를 확대해 올 상반기 내 전면적인 문화 개방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드라마, 영화, 게임, K팝 공연 등 한국 콘텐츠의 중국 내 유통을 제한해 온 한한령을 해제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국과 중국이 올해와 내년에 차례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주최하며 의장국을 맡는 만큼 양국 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한령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으나, 실제로는 한국 콘텐츠의 유통을 제한해 왔다.
한국 콘텐츠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중국 당국의 심의나 허가가 필요한데, 이를 사실상 불허하는 사례가 많았다.
산업은행 산하 KDB미래전략연구소는 2017년 한한령 당시 국내 관련 산업의 피해를 최대 22조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우리도 중국 정부에 (한한령 해제를) 꾸준히 요구해왔고, 중국 정부에서도 긍정적인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중 갈등이 심화되자 중국이 돌파구의 하나로 미국의 우방인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중국은 작년 말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중국의 무비자 대상국에 포함하고, 최근 동계 아시안게임 기간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는 등 한국에 유화적 제스처를 보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