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수도 서울 외항·위성도시, 회색빛 공업도시 등 인천을 지칭했던 표현은 이제 옛말이 됐다. 지금은 수도권 최대 해양도시, 세계를 잇는 관문도시, 제2의 경제도시 등 도시 위상이 한껏 올라간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1981년 7월1일 경기도에서 분리된 인천은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실질적 자치 행정 체제를 갖추게 됐다. 이후 1995년 1월1일 오늘날의 ‘인천광역시’란 명칭을 얻게 된다. 같은 해 7월1일 처음 선출된 민선 지방자치단체장 임기가 시작됐고, 이를 계기로 지방분권과 함께 도시별 특성이 강화됐다.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은 올해, 인천은 경이로운 발전을 이룩했다. 300만 대도시로 성장했고 부산을 제치고 제2의 경제도시로 올라섰다. 지난 30년간 인천이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봤다.

▲300만 도시, 유일한 인구 증가세
인구수는 도시 규모를 나타내는 가장 직관적 지표다. 도심 내 일자리가 풍족하고 따뜻한 보금자리가 있다면 인구 유입도 활발하게 이뤄진다. 그런 측면에서 인천 인구는 짧은 시기에 급격히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면서 인천은 핵심 공업지역으로 주목받았다. 인천항 항만시설 확장과 경인고속도로 건설, 경인전철 개통 등 사회 인프라가 집중적으로 보강되자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를 보면 인천 주민등록 인구는 1980년 108만1831명에서 1985년 138만4916명, 1995년 235만3073명까지 급증했다. 주민이 직접 지자체장을 선출하는 민선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1995년 이후에도 인천은 2000년 254만5769명, 2010년 275만8296명, 2020년 294만2828명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방자치 30주년을 맞는 올해 1월 인구는 302만3649명에 이른다. 특히 저출산 시대에 달성한 300만 인구라 더욱더 값지다. 인천은 국내 6개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도시로, 2037년에는 최대 313만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인구 증가 요인으로는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등 주거 환경이 뛰어나고 많은 기업을 유치한 신도시가 조성된 점과 인천국제공항, 인천항과 연계한 제조·물류 등 일자리가 증가한 점이 꼽힌다.

▲해수면 포함 가장 넓은 광역시
인천은 1981년 7월1일 직할시로 승격할 당시 4개 구를 두고 있었고 면적은 201.2㎢에 불과했다. 이후 산업도시로 성장하면서 공유수면을 매립해 나갔고 1989년 1월1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30.9㎢)과 옹진군 영종·용유면(72㎢)이 편입돼 면적이 310.8㎢까지 확장됐다.
산업화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발전하던 인천은 도시 광역화란 제2의 성장판을 연다. 광역시로 명칭을 변경한 해인 1995년 3월1일 강화군(401.3㎢)과 옹진군(163.6㎢), 김포군 검단면(42.2㎢)이 편입돼 면적이 955㎢까지 증가했고, 2000년대 들어서 공유수면 매립과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2005년에는 면적이 994.1㎢까지 넓어졌다.
인천 면적은 2022년 12월31일 기준 1067㎢에 이른다. 1981년과 비교하면 행정구역이 5배 이상 확장된 것이다. 인천은 해수면을 포함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광역시다.
아울러 인천국제공항 개항(2001년), 송도국제도시 개발과 경제자유구역청 개청(2003년), 인천대교 개통(2009년), 인천신항 개항(2015년) 등 주요 인프라 구축과 개발이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기폭제 역할을 담당했다.
인천 행정 체제는 내년 7월1일부터 기존 2군·8구에서 2군·9구로 개편된다. 중구 내륙과 동구가 제물포구로 합쳐지고 영종구가 신설되며, 서구는 서구와 검단구로 분리된다. 인천형 행정 체제 개편은 미래 행정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맞춤형 지역 발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부산 앞지른 제2의 경제도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지역 경제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년 지역소득 자료를 보면 2023년 인천의 GRDP는 116조8630억원으로 부산(114조1650억원)을 앞질렀다. 특히 실질 경제 성장률은 4.8%를 기록하며 전국 1위를 달성했다.
인천 GRDP는 IMF 사태와 2008년 금융 위기, 코로나19 대유행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1995년 22조9616억원에서 2010년 56조8560억원, 2015년 81조8050억원, 2020년 95조2970억원까지 치솟았고 2021년 처음으로 104조3860억원을 기록하며 GRDP 100조 시대를 열었다.
기업과 일자리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1993년 인천지역 사업체 수는 9만6988개에서 2023년 32만2297개로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종사자 수는 52만6400명에서 125만8759명으로 급증했다. 이 같은 경제 성장을 두고서는 인천공항과 인천항,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 경제 관련 인프라 확충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인천시 재정 규모도 크게 늘어났다. 직할시로 승격이 된 1981년 예산 규모는 816억원이었는데 올해 예산은 이보다 훨씬 많은 14조9429억원으로 확정됐다. 다만 시 재정자립도는 2022년 52.8%, 2023년 52.4%, 지난해 49.6%로 매년 낮아지는 추세다. 재정자립도는 지자체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 운영의 자립 능력이 우수하다는 걸 의미한다.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은 인천은 세계적 공항과 항만, 송도국제도시 등 미래형 첨단도시, 바이오산업, 국제대학 캠퍼스 등 무수한 발전 가능성을 품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지난달 9일 인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 공유회’에서 “인천 경제 회복과 산업 혁신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을 추진해 인천을 완전한 제2의 경제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30년간 광역시장 당선자 5명…유정복 현 시장 포함 3명 재선
유 시장 “지방이 주도하는 시대 열기 위해 개헌 필요”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 시행 후 30년간 인천에서는 모두 8번의 광역시장 선거가 치러졌고, 재선을 포함해 단 5명만이 시장직에 올랐다.
최기선·안상수 전 시장과 유정복(사진) 시장이 재선에 성공했고, 송영길·박남춘 전 시장이 한 차례씩 당선됐다.
최 전 시장은 초대와 2대 시장을 역임했다. 인천을 송도정보화도시(Tele port), 인천국제공항(Air port), 인천항(Sea port)을 중심으로 발전시키는 ‘인천 트라이포트(Tri-port) 발전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전략은 오늘날 인천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 전 시장은 2018년 2월28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인천시는 고인이 지역 발전에 공헌한 업적을 기려 시민장에 준하는 장례를 치렀다.
안상수 전 시장은 3·4대 시장을 맡아 인천 발전을 이끌었다. 이후 5대 시장에는 송영길 전 시장이 선출됐고 6대 시장 선거에서는 유정복 시장이 당선의 기쁨을 누렸다.
7대 시장 선거에는 박남춘 전 시장이 당선됐으며 유 시장은 8대 시장 선거에 출마해 시장직 탈환에 성공했다.
유 시장은 이번 임기에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 도시’를 민선 8기 시정 목표로 내걸고 아이플러스 드림 시리즈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재외동포청과 인천고등법원을 잇따라 유치했고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이 확정되는 데 기여했다.
지난달 제18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으로 취임한 유 시장은 지방분권형 개헌 추진에 앞장서고 있다.
유 시장은 지난 12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앙집권적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이 주도하는 시대를 열기 위해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