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은 국토교통부 부동산 기초자료와 실거래가 정보를 활용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숙박 애플리케이션 ‘야놀자’는 지자체의 문화·관광 정보를 활용해 기존 숙박 중개업 사업과 시너지를 내고 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창업 10년 이내 기업 가치를 10억달러 이상으로 평가받는 ‘유니콘 기업’이다.
이렇게 기업들이 단기간 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정부가 공개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덕이다. 올해 1월 기준 10만개 이상의 정보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늘어날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해 AI 관련 데이터 개방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12년만에 공공데이터 개방 10만건 넘어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된 공공데이터는 10만2052건이다. 지난 2013년 처음 개방을 시작할 당시 5272건에서 12년 만에 19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공공데이터포털은 국민과 기업이 공공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이 개방하는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국회 등 1100여개 기관이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3년 ‘공공데이터법’ 제정 이후 정부가 보유한 정보를 민간에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법은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부가 보유한 정보를 민간에 제공하는 법을 제정한 국가는 세계에서도 한국이 거의 유일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년마다 실시하는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평가에서 지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4회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공공데이터 개방, 민간 기업·서비스 3100개 창출”
행안부는 이렇게 민간에 공유한 정보를 활용해 만들어진 민간 기업과 서비스가 총 3131개라고 밝혔다. 지난 2013년 146개를 시작으로, 연 평균 200~300개씩 늘어나고 있다.
3131개 서비스는 모바일 앱이 2402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웹(700개), 키오스크 등 기타(29개) 등의 형태로 제공 중이다.
분야별로 문화·관광을 활용한 서비스가 666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환경·기상(394개), 교통·물류(385개), 보건·의료(261개), 국토·관리(252개) 등이다.

정부가 가장 많이 개방한 공공데이터는 공공·행정(14.9%)이다. 이어 문화·관광(12.1%), 산업·고용(9.3%), 교통·물류(8.3%), 환경·기상(7.8%) 등의 순이었다.
민간이 가장 많이 내려받은 오픈API는 국토교통부의 ‘연속지적도’다. 행안부 관계자는 “연속지적도는 지형의 고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안전지대도 분석할 수 있는 정보”라며 “부동산 개발부터 재난안전관리 분야 등으로 폭넓게 쓰인다.
오픈API는 외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소프트웨어다.
정부는 앞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 개방 정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앞으로 AI 친화적 공공데이터를 대폭 개방해 국내 AI 개발·확산에 기여하는 등 국민·기업 수요에 맞는 공공데이터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