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는 19일 창원국가산단이 작년에 생산액 62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산단은 2023년에 처음 60조원대를 돌파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최근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창원국가산단의 생산액은 2019년 39조원으로, 2010년대 들어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조금씩 회복세를 타면서 2023년엔 사상 처음으로 생산액 60조원대를 기록했다. 이어 2024년에는 62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입주업체 수 역시 처음으로 3000개사를 돌파했다. 1974년 24개사가 산단에 첫 입주한 이후 50년 만이다.
산단에는 1978년 122개사 입주했으며, 2000년 1000개사, 2010년 2000개사를 넘어선 지 14년 만에 3000개사 입주 시대를 열었다.

공단 발표 자료에서 창원국가산단의 2024년 생산액은 62조2230억원, 수출액은 184억2900만 달러, 입주업체 수는 3216개사, 고용은 12만28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38개 국가산단 중 생산액은 4위, 수출액과 입주업체수는 5위, 고용인원은 3위 기록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국의 국가산단 생산액 중 창원국가산단의 주요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계류 1위(약 27%), 전기전자 2위(약 17%), 운송장비 2위(약 13%)를 보였다.
시는 이런 기세를 이어가기 위해 창원국가산단을 디지털과 문화를 입혀 지속 가능한 산단으로 탈바꿈시킨다.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 제조 확산과 디지털 전환을 서둘러, 기업의 경쟁력을 더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워라밸 공간 창출로 청년이 선호하는 일터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창원국가산단은 기계 산업을 바탕으로 하는 조선, 방산, 자동차, 전자 등 산업이 꽃피우고 있고, 원전 산업 수출이 가시화된다면 더 큰 성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며 “우리나라의 근대화와 산업화를 견인한 창원국가산단이 미래 50년에도 창원 경제와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기반 마련과 기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진주시, ‘남강지하차도 자동차단시스템’ 구축 나서
- KT, 소상공인 지원 하이오더 고객 감사제 열어
- [청양군 소식]“청양 구기자 대한으로 길이 보존하세” 등
- 메디톡스, ‘뉴라미스’ 2종 세르비아 허가 획득
- [제주시 소식] “미등기 상속 부동산 납세의무자 확인 나선다” 등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