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가 오는 4월부터 반포 학원가 일대를 ‘킥보드 없는 거리’로 운영한다.
19일 구는 서초중앙로29길, 서초중앙로31길, 서초중앙로33길, 고무래로8길, 고무래로10길 등 반포학원가 일대 총 2.3km 구간을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서초구 내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두 곳의 국공립어린이집이 위치하고 있으며, 초·중·고 학원들이 밀집해 있어 학생들을 포함한 유동 인구가 많기로 유명하다. 또 좁은 골목길 사이로 셔틀버스가 많이 다녀 킥보드를 타고 주행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컸던 지역이다.
서초구 관계자는 “2023년 5월부터 서울시에 반포 학원가 일대 약 2.3km를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해 왔다”며 “지난해 12월 27일 서울시 경찰청으로부터 지정 통보를 받아 오는 4월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한국경제 등은 전했다.
구는 2월 중순부터 ‘전동킥보드 통행금지’ 현수막을 걸고, 다음 달부터는 전동킥보드 통행금지 구역임을 알리는 교통 표지판을 설치할 예정이다. 4월 중에는 해당 구간에서 전동킥보드로 주행할 경우 관할 경찰서의 단속을 받게 되며, 적발 시 범칙금 2만 원이 부과된다.
이와 관련해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개인형 이동장치로 인한 보행자와 학생들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킥보드 없는 거리’를 추진하게 됐다 밝히며 “반포 학원가 일대가 주민들이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거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의 단독사고 치사율이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통계자료가 눈길을 끈다.
지난해 8월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사고는 2389건으로 24명이 숨지고 2622명이 다쳤다. 2022년 2386건 사고 수에 비해 소폭 감소했으나,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치사율이 5.6%로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 문제로 꼽혔다. 2023년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 1.3%보다 4.3배 높은 수치다.

개인형 이동장치(PM)는 원동기장치자전거, 2종 소형, 1·2종 보통 등의 운전면허 소지자만 운행할 수 있다.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자전거 도로 또는 차도 우측 가장자리를 이용해야 한다.
또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음주 후에는 이용해서는 안 되고, 음주운전 시 단속과 처벌을 받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