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친정엄마도 산후도우미로 활동 가능
산후조리 비용 부담 줄이고 전문성도 높여

“이건 말도 안 된다. 왜 친정엄마는 안 되는 거죠?”
한 맘카페에 올라온 글 하나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산후조리 도우미를 고용할 경우 시어머니는 정부 지원 대상이었지만, 친정어머니는 대상이 아니었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글을 본 엄마들은 “같은 가족인데 차별하는 이유가 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실제로 정부 지원을 받으려면 ‘건강관리사’ 자격을 갖춘 도우미를 고용해야 했는데, 시어머니는 생계를 달리할 경우 예외적으로 인정받았다.

반면 친정엄마는 생계를 함께하든 따로하든 무조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 같은 황당한 규정은 지난해 국무조정실이 주최한 ‘황당규제 국민 공모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논란이 컸다.
국민적 반발이 거세지자 보건복지부는 마침내 제도 개선에 나섰고, 올해부터 친정엄마도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면서 친정엄마들이 건강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건강관리사 교육을 신청하는 친정엄마들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했다.

세종시의 한 건강관리사 교육기관 관계자는 “지난달 교육생 20명 중 3명이 딸의 산후조리를 위해 등록했다”고 밝혔다.
서울 구로구의 한 교육업체도 “지난달 교육생 5명이 가족 돌봄을 목적으로 교육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처럼 산모의 부모가 직접 건강관리사가 되어 산후조리를 돕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한 교육업체 관계자는 “정부 지원을 받으려면 건강관리사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걸 알고 나서 문의가 많이 늘었다”며 “보건소에서도 관련 문의가 많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정부가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출산 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 양육을 돕는 제도다.
친정엄마가 건강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직접 산후조리를 맡을 경우에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정부 지원금은 첫째 아이(표준형) 기준으로 98만2000원이 지급되며, 산모는 44만2000원만 부담하면 된다.
작년까지는 시어머니만 지원 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는 친정어머니뿐만 아니라 형제자매, 생계를 함께하는 시어머니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확대됐다.

비용을 따져보면 가정에서 산후조리를 할 경우 경제적 부담이 훨씬 줄어든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산모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면 평균 12.6일 동안 286만5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에서 산후조리를 하면 평균 22.3일 동안 125만5000원이 들었다.
이에 따라 비용 부담을 덜고 가족이 직접 산후조리를 돕는 방식을 선택하는 산모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건강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보건복지부 인증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신규자는 60시간(약 8일), 경력자는 40시간(약 5일)의 교육을 이수하면 된다.
교육 비용은 15~20만 원 수준이지만, 가사관리사로 400시간 이상 근무하면 환급받을 수 있다.
교육 후에는 각종 서류를 준비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에 등록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은 약 4~6주가 걸린다. 업계에서는 출산 예정일 최소 6주 전에는 교육을 신청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등록을 위해서는 보건증, 마약 검사, 질병 접종증명서 등의 서류가 필요하며, 아동학대 예방교육도 이수해야 한다.
한 교육업체 관계자는 “교육과 등록 과정을 한 번에 진행해주는 기관을 찾으면 절차가 훨씬 간편해진다”고 조언했다.
이번 정책 개편으로 친정엄마도 건강관리사로 활동하며 산후조리를 도울 수 있게 되면서, 산모와 가족의 부담이 한층 줄어들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산모가 신뢰할 수 있는 가족이 산후조리를 담당할 경우 정서적으로도 안정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앞으로 가족 돌봄 지원 정책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