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교사의 학생 피습 사건 이후 학생들의 등교가 재개됐지만 여전히 불안과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김하늘 양 피습 사건이 발생한 대전의 초등학교는 지난 17일 1~3학년 학생들을 시작으로 18일 4~6학년 학생들의 등교를 재개했다. 그러나 학부모와 학생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사건의 여파로 인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전날부터 학교 앞에는 경찰 12명과 순찰차 2대가 배치돼 학생들의 안전을 지켰다. 학부모들은 아이의 손을 꼭 잡고 등교를 함께하며 “학교에 경찰 아저씨도 계시니까 걱정하지 말고 끝나면 엄마한테 꼭 전화해 알았지”라는 말을 건네며 아이가 안심하도록 애썼다.
4학년 딸을 둔 김 모 씨는 “아이가 교실에서 제대로 집중할 수 있을지, 친구들과 대화에서 불안을 느끼진 않을지 신경이 쓰인다”고 토로하며 여전히 사건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이날 학교에서는 6학년 졸업식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애도 분위기를 고려해 별도의 행사 없이 졸업장만 수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6학년 자녀를 둔 박 모 씨는 “졸업식이 간소화된 게 아쉽지만 지금 분위기에서 축하 행사를 열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자녀가 이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밝혔다.
학교와 대전시교육청은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학부모가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 긴급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21일까지 교내와 서부교육지원청 위(wee) 센터에서 심리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상담에는 대전교육청 위센터와 한국교육시설안전원 등에서 30여 명의 전문 상담인력이 투입되어 학생들의 심리 회복을 돕고 있다.
한편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가해 교사의 휴직·복직 과정에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오 의원은 “가해자는 사이코패스로 정신 감정부터 다시 해야 한다”며 돌봄교실을 관리가 편리한 1층으로 옮기고 CCTV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김하늘(8)양이 40대 여교사의 손에 숨졌다. 가해 교사는 자해 후 긴급 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사건 이후 대전시교육청은 지난 14일까지 애도기간을 정하고 등교를 중단했으며 학생들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