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10명 중 6명, 일반의로 재취업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1.3만명 병원 떠나
전공의들 “비과학적 정책” 반발…교육 질 우려도

“소아과 선생님 중 한 분은 용접을 배우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나라에서 더는 살기 싫다며…”
지난해 3월 한 의료계 인사의 소셜미디어 글에는 전공의들의 애환이 담겨있었다.
한때 용접을 배우겠다는 말까지 나온 상황에서 대다수 전공의들이 사직 후 어디로 향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병원 떠났지만…다시 의료기관으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직했던 전공의 10명 중 6명가량이 일반의로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9222명의 전공의 중 5176명(56.1%)이 다시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하자, 전공의들은 이에 반발하며 대거 사직서를 제출했었다.

2월 20일부로 업무를 중단했고, 같은 해 6월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하면서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이루어졌다. 이후 이들은 일반의로 재취업하며 의료 현장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기관 종별로 보면, 재취업한 전공의 5176명 중 3023명(58.4%)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이다. 수도권 집중 현상도 뚜렷해,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에만 약 3분의 2가 재취업했다.

반면, 상급종합병원으로 돌아간 인원은 88명(1.7%)에 불과해 대형병원의 전공의 부족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 부족…장기화하는 의료 공백

전공의들의 대규모 이탈은 국내 의료기관의 인력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 수는 1만684명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 6041명 대비 76.9%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인턴 수는 96.4% 급감했고, 레지던트도 88.7% 감소했다.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올해 전문의 시험 1차 합격자 수는 지난해의 18%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연말 전문의 숫자가 작년보다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필수 의료 인력을 늘리기 위한 정부 정책이 오히려 전문의 감소라는 역효과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전공의들의 사직과 재취업이 의료계에 미치는 파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필수 의료 인력 확충 정책이 실제로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에 현재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