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구 방식으로 판매하는 디지털 도어록(잠금장치)에 대해 정부 당국이 주의보를 발령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구 방식으로 판매하는 중국산 디지털 도어록(잠금장치) 10종을 시험한 결과 3종은 화재가 발생하면 문이 열리지 않았고, 5종은 리튬이차전지 때문에 폭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은 불이 나면 거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수동레버로 출입문을 열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시험에서 3종은 수동레버가 녹아 문을 열 수 없었다.
소비자원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도어록을 30분 동안 상온에서 270도까지 올려 10분간 유지한 뒤 수동레버 작동 여부를 확인했다.
또 리튬이차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제품 5종은 270도에 도달하기 전인 170∼260도에서 배터리가 발화·폭발했다.
이런 이유로 국내 디지털 도어록의 경우 현재까지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오는 5월 7일부터 이차전지 사용이 가능해지는 만큼 구매한다면 반드시 ‘KC 안전 확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디지털 도어록 중 1종은 내부 배터리 방전 시 외부에서 출입문을 열 수 없었다고도 했다.
디지털 도어록은 내부 배터리가 방전되면 외부에 설치된 비상 전원 공급 단자를 이용해 문을 열 수 있어야 하지만 해당 제품은 단자가 없어 도어록이나 출입문을 파손해야만 내부로 진입할 수 있었다.
이밖에 국내 디지털 도어록은 설치하는 출입문의 구멍을 뚫는 위치와 크기가 표준화돼 있지만,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10종은 모두 국내 규격과 달랐다.
이 때문에 설치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이사할 경우 출입문을 원상복구 해야 하는 문제점가 발생하게 된다.
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에 불이 나면 문을 열 수 없거나 폭발 가능성이 있는 제품 등 6종의 문제점을 알렸고 알리 측이 해당 제품의 검색과 판매를 차단했다.
알리익스프레스도 이들 도어록 6종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환불해주기로 했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알리익스프레스 고객센터(☎ 1533-6727)에 연락해서 환불받으면 된다.
- 3월말부터 공매도 재개…무차입공매도 방지 의무화·위반 시 과태료
- 해마다 ‘실적 신기록’..스킨1004, 올핸 일본에 아성 쌓는다
-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 5%p 상향 ‘K-칩스법’, 기재위 통과
- K패션 핵심축으로 부상한 무신사… 작년 외국인 매출, 전년 대비 6배 증가
- 현대건설, 1.6조 규모 가양동 CJ부지 복합시설 공사 수주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