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내란 동조와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자택과 집무실을 경찰이 압수수색 중이라고 전해졌다.

18일 이날 오전부터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경찰 특수단)은 이 전 장관 자택과 집무실을 압수수색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사태 당시 특정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 의혹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내란에 동조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계엄 선포 직후 허석곤 소방청장에게 일부 언론사의 단전·단수 조치를 지시한 의혹도 있다.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해 대통령 집무실에 함께 있었던 이 전 장관에게 특정 언론사 단전과 단수를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과 단수를 하라는 내용이 적힌 문건을 보여주며 비상계엄 선포 후 조치 사항을 이 전 장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이 전 장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화해 상황을 점검하고, 허석곤 소방청장에게 연락해 단전·단수에 관한 지시를 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단전·단수 지시를 받은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 직접 지시는 없었으나 비상계엄 선포를 막기 위해 들어간 대통령 집무실에서 단전·단수 등 내용이 적혀 있는 쪽지를 보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해 경찰청장과 소방청장에게 전화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18일 검찰은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했다. 내란 및 내란음모,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고발된 이 전 장관을 수사해온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이 전 장관 혐의 사건을 경찰에 넘겼다. 공수처는 함께 넘겨받은 윤 대통령의 내란 혐의 사건은 수사한 뒤 검찰에 보냈지만, 이 전 장관에 대해서는 경찰이 수사하도록 한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