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26년 인천 서구·검단구 분구를 앞두고 서구의회가 현안을 둘러싼 의견들로 뜨겁다.
인천서구의회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분구 준비 특별위원회(분구특위)’는 지난 13일 제4차 회의를 열고 주요 현안 사항을 점검했다고 18일 밝혔다.
분구특위는 주요 현안 사항으로 ▲검단구 임시청사(본청·의회·보건소) 확보 방안 ▲검단구 신청사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서구 명칭 변경 추진 경과 등을 보고 받았다.
또 분구 추진 예산 부족 실태와 예산 확보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검단구 임시청사는 당하동 1325 일원에 ‘모듈러 임차’ 방식 운영을 결정하고, 인천시와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분구특위에 따르면 신청사 건립까지 5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임시청사는 최소 6년 이상 사용될 예정이다.

인천시가 분구 추진 예산 배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김미연(국, 가정1~3동·신현원창동) 의원은 이날 제27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의정자유발언에 나서 “분구는 인천시의 행정 효율성과 서구의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한 정책”이라며 “인천시가 도시 계획의 제안자이자 행위자임에도 서구에 더 많은 예산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시는 필수 기반 사업비(임시청사, 정보 통신인프라, 안내표지판)에만 50%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적용한 시 지원금은 158억원으로, 나머지 329억원은 구가 부담해야 한다.
이에 그는 “시는 무대책, 무책임한 졸속 행정으로 서구에 무리하게 분구 개편 비용을 마련하도록 하는 등 지역 미래를 암울하게 하고 있다”며 “충분한 검토가 없었음을 시인하고 통렬한 반성과 함께 공정하고 타당한 예산을 확보해달라”고 요구했다.

행정체제 개편에 맞춰 추진되는 서구 명칭 변경이 공정한 절차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최근 구는 구 명칭변경 추진위원회를 열고, 경명·서곶·서해·청라구 등 4개 후보안을 추렸다.
해당 후보안을 바탕으로 선호도 여론조사를 거친 뒤, 3월 중 제2차 추진위 회의를 열어 최종 명칭안을 선정할 방침이다.
기획행정위원장을 맡은 김원진(더불어민주당, 청라1·2동) 의원은 이날 본회의에서 “2018년 미추홀구 명칭 변경 과정과 비교해 볼 때 서구의 진행 방식은 주민 참여율이 현저히 낮고,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절차적 장치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미추홀구는 최종 선호도 조사에서 전체 세대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진행해 44%의 응답률을 기록했고, 이를 바탕으로 명칭을 결정했다. 반면 서구는 0.7%에 해당하는 구민만이 참여했고, 선호도 조사 대상 또한 2000명으로 한정돼 있어 대표성·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지적이다.
또한 ‘청라구’ 명칭과 관련해 지역 커뮤니티 자체 조사에서 94%의 반대 의견이 나온 것을 언급하며, 명칭 변경이 오히려 주민 간 대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명칭 변경 과정에서 주민 참여 확대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서구의 새로운 명칭은 64만 서구민이 함께 만드는 이름이어야 한다”며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진행되는 행정 절차는 주민 공감을 얻기 어렵고, 지속적인 논란을 초래할 것이다. 혼란이 아닌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명칭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신중하고 공감할 수 있는 행정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