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데 대해 주요 목표물로 지목돼온 인도가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의 추가 인하를 시사했다.
17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고위 관리들이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비해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계속 인하할 것이라고 밝혔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은 섬유에서 오토바이에 이르기까지 수입 관세를 대대적으로 인하하겠다고 이미 밝힌데 이어 이날 뭄바이에서 열린 경제관련 행사에 참석해 국가 관세제도 개혁절차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도의 미국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는 지난 2022년 기준으로 15.3%인 반면 미국의 인도 제품에 대한 관세는 평균 3.83%이었다. (인도 국립은행 연구소 통계) 인도의 대미 무역흑자는 410억달러 규모다.
따라서 미국이 상호주의를 철저히 적용한다면 인도에 부과하는 관세는 현재의 3%대에서 15%대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미츠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의 분석가들이 블룸버그에 말했다.
또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계획이 그대로 실행되면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 국가들이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만약 미국이 인도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인도 국내총생산(GDP)은 0.5%가 감소할 수 있다고 소우미야 칸티 고쉬 인도 국립은행(SBI) 수석 경제 고문은 진단했다. 그는 미국이 관세를 평균 15 내지 20% 인상하면 인도의 대미수출이 3 내지 3.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잠재적인 무역 전쟁을 막기 위해 관세 인하 의사를 밝히는 등 발빠르게 움직였다.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해 올해 가을에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고 2030년까지 양자 무역을 현재의 두 배 규모인 5000억 달러로 늘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인도 측은 이와 함께 미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불합리하다는 미국 관리들의 지적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서고도 있다. 투힌 칸타 판데이 인도 재무부 차관은 인도가 가장 중요한 수입품 30개에 대해서는 3% 미만의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다고 이날 뭄바이 행사에서 말했다.
그는 더 높은 관세율은 “매우 소수의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면서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아마도 이런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