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제 임상 실패 정보를 미리 알고 회사 주식을 대량 매도해 수백억원의 손실을 회피한 혐의로 신풍제약 창업주(장용택 전 회장)의 2세 장원준 전 대표이사와 신풍제약 지주사인 송암사를 금융당국이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장원준 전 대표와 송암사에 대하여 자본시장법 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 금지 위반’ 혐의로 검찰 고발 조치를 의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해 거래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과 부당이득금 3~5배 규모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올해 3월31일부터는 4~6배로 벌금 규모가 커졌으며, 부당이득 규모에 따라 최대 무기징역까지 가중처벌을 받을 수 있다.
증선위에 따르면 신풍제약의 실소유주인 장원준 전 대표는 미리 취득한 신약개발 임상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해 거래함으로 369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회피해 자본시장의 질서와 신뢰를 크게 훼손했다.
증선위는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하는 코스피 상장사 실소유주가 오히쳐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내부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한 사건으로 사안이 엄중하다고 보아 수사기관 고발 조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증선위 관계자는 “자본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한 내부자거래, 시세조종 등 각종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해 엄정 조치하고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자본시장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장원준 전 대표는 90억원대 상당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지난해 9월 2심에서 징역 1년6개월이 선고된 바 있다. 앞서 2008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부친인 신풍제약 창업주와 공모, 납품업체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