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폴란드 정부가 최소 40조원 규모의 한국 원전 수주 계약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2022년 10월 양국 간 체결된 협력의향서(LOI) 이후 진행되던 사업에 대한 중대한 변화를 시사한다.
16일 한 언론매체는 폴란드 정부가 한국과의 원전 수주 계약 재검토 의사를 전달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2023년 12월 폴란드 신정부 수립 후 동사업에 대한 재검토 입장을 표명한 상태”라고 전했다.
지난 2022년 10월 폴란드 민간발전사 ZE PAK, 국영 전력공사 PGE와 한국수력원자력은 폴란드 원전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협력의향서를 체결했다. 동시에 양국 정부 부처 간 양해각서(MOU)도 서명됐다.
당초 계획에 따르면, 바르샤바에서 240km 떨어진 퐁트누프 지역에 한국의 3세대 원자로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전을 건설할 예정이었다.
최소 2기에서 최대 4기의 원전 건설이 고려됐으며, 사업 규모는 최소 300억 달러(약 43조원)로 추산됐다.
그러나 폴란드의 정권 교체 이후 사업 진행이 지연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폴란드 정권 교체 후 (타당성 조사) 진행이 잘 안 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재검토 결정을 사실상 프로젝트 무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기업 간 LOI와 정부 부처 간 MOU가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폴란드 내부 상황에 따라 원전 수주가 좌초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결정은 한국의 원전 수출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임기 초부터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한 윤석열 대통령의 ‘세일즈 외교’에 힘입어 해외 원전 건설 사업을 수주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국정과제로 내걸면서 대대적으로 홍보도 했다.
한수원이 주도하는 팀코리아와 협력해 체코와 폴란드에서 결실을 맺었다고 밝혔으나, 폴란드와 슬로바키아 등 원전 프로젝트가 줄줄이 무산될 위기에 놓이면서 최대 치적이 신기루처럼 사라지게 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