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1인 가구의 사회적 단절과 고립이 과거보다 더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경제적 빈곤 수준이 개선되는 동안에도 1인 가구의 개선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뎠다.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빈곤 개념 및 측정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과 2021년 국민생활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구의 ‘경제적 박탈’ 점수는 이 기간 평균 1.13점(박탈지표 10개 중 해당하는 1개당 1점)에서 0.96점으로 0.17점 줄었다. ‘사회적 배제’ 점수는 1.52점에서 1.47점으로 0.05점 낮아졌다.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 박탈 점수는 이 기간 1.75점에서 1.72점으로 0.03점 미미하게 감소했고, 사회적 배제 점수는 2.61점에서 2.83점으로 오히려 0.22점 증가했다. 즉 18년간 전체 가구의 경제적 박탈이 크게 감소한 데 반해 사회적 배제는 소폭 감소했으며 1인 가구의 경우 사회적 배제는 오히려 증가한 것이다.
경제적 박탈과 사회적 배제 모두 ‘박탈’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학적 용어인데, 경제적 박탈은 물질적 결핍에 가깝고 사회적 배제는 참여와 관계 영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가령 돈이 없어 끼니를 거르거나 공과금을 내지 못한 적 있는지 등은 경제적 박탈 측정 문항으로, 어려울 때 이야기하거나 위로받을 친척·친구가 있는지, 노후를 위한 연금·저축이 있는지, 1개월에 1번 이상 가족 외식을 하는지 등은 사회적 배제 측정 문항으로 활용됐다.
보고서는 이런 결과가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 단절과 고립이 더 심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가구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은 1인 가구 비중 자체가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민생활실태조사에서 1인 가구의 비율은 2003년 15.5%에서 2021년 32.8% 늘었다. 이후에도 계속 늘어나 통계청 인구총조사 기준으론 2023년 35.5%까지 올라섰다.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에 비해 경제적 빈곤의 절대적 수준도 높고 개선 속도도 느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21년 기준 41.4%(균등화된 중위 경상소득 50% 기준)로 전체 가구 13.7%의 3배 수준이다.
2003년과 비교해 2인 가구는 빈곤율이 34.8%에서 21.3%로, 3인 이상 가구도 절반 내지 3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데 반해 1인 가구는 47.3%에서 5.9%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여유진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들어 1인 가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빈곤율이 절대적·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됨에 따라 향후 1인 가구에 빈곤 정책의 초점이 맞춰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