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국 민주주의 신뢰하는가?…20대 남성 응답 충격적

위키트리 조회수  

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불신이 일부 퍼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는 최고의 가치로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주요 제도들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면서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며, 이는 한국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해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동아시아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 민주주의의 작동 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20대 응답자들은 평균 5.08점을 부여했다. 이는 전체 평균인 5.36점보다 낮은 수치이며, 특히 20대 남성의 경우 4.89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50대 남성은 5.8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매겼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이러한 결과는 2017년 조사에서 20대 남성이 40대와 50대 남성보다 민주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던 것과 대비된다.

또한 ‘민주주의가 다른 정치 제도보다 우월하다’는 주장에 대한 동의율에서도 세대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대 남성 중 62.6%만이 이 주장에 동의했으며, 이는 30대 남성의 64.3%, 60대 여성의 71.5%보다 낮은 수치다. 2017년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80% 이상이 민주주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주요 기관들에 대한 신뢰도도 하락하고 있다. 국회, 대통령, 법원, 행정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핵심 기관들에 대한 불신이 높아졌으며, 헌법재판소만이 상대적으로 신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에 대한 신뢰도 역시 4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 민주주의가 심각한 오작동을 겪고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체제적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화여대 유성진 교수는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 저하는 단순한 불만의 표현이 아니라, 정치 체제 자체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이러한 민주주의 위기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정치적 대립이 심화되면서 국민들의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으며, 공정성 논란과 불투명한 의사 결정 과정이 불신을 더욱 키우고 있다. 또한, 젊은 세대는 기존의 정치 구조가 자신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끼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정치 제도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투명한 정책 결정 과정과 적극적인 시민 참여 유도가 필요하며, 특히 젊은 세대의 정치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민주주의는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발전해야 하는 체제이며,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불신과 회의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매일 보는 나만의 운세 리포트! 오늘 하루는 어떨까?

위키트리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대한민국 교육 1번지인데도 “쓰나미 못 피했다”…강남마저 흔들리자 ‘초비상’
  • '300만명 모인 광화문 국민대회' 전광훈 "천만 명 모여 국민저항권 발동, 미국 상·하원의원들에게 보여 주자"
  • 소행성 2024 YR4 '아마겟돈'...지구에 부딪히면 이렇게 된다
  • [서산시 소식]수소도시 조성 추진 박차 등
  • 성산구, 區 주민자치위원협의회 ‘소통’
  • 차디찬 물살을 견뎌, 해군의 꿈나무로

[뉴스] 공감 뉴스

  • 창원특례시, 생활밀착형 버스정보안내단말기 시스템 개선
  • 마산합포구, 취득세 비과세∙감면 부동산 일제 조사
  • 홍장원 ‘공터 메모’, 윤 대통령의 통화 전 작성논란 ‘일파만파’
  • “여래, 웃다. 여래, 미소 짓다. 여래, 다시 오다”
  • 청송군, 367억원 투입해 정주환경 개선 및 도시재생 사업 추진
  • 천만 명 앞에서 “망신당할 판”.. 대책 없는 상황에 ‘어쩌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 “허울 뿐인 9인승?” 팰리세이드 오너들이 가장 후회하는 이유
  • “한국 사랑에 보답하고 싶어서?” 대한외국인 조나단, 드림카로 GV70 뽑은 이유
  • “돈 없어서 수입차 사는 시대” 제네시스보다 저렴한 BMW, 불티나게 팔린다!
  • “BYD가 그렇게 좋다며?” 호평 일색 중국 전기차 아토3와 EV3 성능 비교
//php echo do_shortcode('[yarpp]'); ?>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교체출전' 송명근 17점…우리카드, 삼성화재에 짜릿한 역전승

    스포츠 

  • 2
    '빌보드 루키' 누에라, 소년 에이전트 첫 이야기 'New is Now'

    연예 

  • 3
    “여기가 국내 1호 해수욕장”… 케이블카·구름다리까지 유명한 해변 여행지

    여행맛집 

  • 4
    이대호 이후 롯데 붙박이 국대 기대감…22세 우타 외야수 초고속성장, 3할·20홈런 벽 뚫나

    스포츠 

  • 5
    젠슨황이 꿈꾸는 '피지컬 AI' 미래…현실로 이끌 바로 '이것'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대한민국 교육 1번지인데도 “쓰나미 못 피했다”…강남마저 흔들리자 ‘초비상’
  • '300만명 모인 광화문 국민대회' 전광훈 "천만 명 모여 국민저항권 발동, 미국 상·하원의원들에게 보여 주자"
  • 소행성 2024 YR4 '아마겟돈'...지구에 부딪히면 이렇게 된다
  • [서산시 소식]수소도시 조성 추진 박차 등
  • 성산구, 區 주민자치위원협의회 ‘소통’
  • 차디찬 물살을 견뎌, 해군의 꿈나무로

지금 뜨는 뉴스

  • 1
    '중증외상센터' 인기에 원작자 화교설?…"군의관 출신, 화교 아니다"[MD이슈]

    연예&nbsp

  • 2
    “정말 이렇게 나온다고?” .. 449마력 벤츠, 홀딱 반해버릴 신차의 ‘정체’

    차·테크&nbsp

  • 3
    “이정후의 완전하고 건강한 시즌, 그러나…” 1631억원 외야수가 돌아와도 SF의 이 고민은 해결 안 돼

    스포츠&nbsp

  • 4
    '투수는 배찬승·야수는 제2의 강백호' 함수호, 청백전서 3안타 2득점 맹타…뜨거워지는 삼성 캠프

    스포츠&nbsp

  • 5
    “2월에도 다채로운 풍경”… 겨울에 더 완벽한 가족 여행지

    여행맛집&nbsp

[뉴스] 추천 뉴스

  • 창원특례시, 생활밀착형 버스정보안내단말기 시스템 개선
  • 마산합포구, 취득세 비과세∙감면 부동산 일제 조사
  • 홍장원 ‘공터 메모’, 윤 대통령의 통화 전 작성논란 ‘일파만파’
  • “여래, 웃다. 여래, 미소 짓다. 여래, 다시 오다”
  • 청송군, 367억원 투입해 정주환경 개선 및 도시재생 사업 추진
  • 천만 명 앞에서 “망신당할 판”.. 대책 없는 상황에 ‘어쩌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 “허울 뿐인 9인승?” 팰리세이드 오너들이 가장 후회하는 이유
  • “한국 사랑에 보답하고 싶어서?” 대한외국인 조나단, 드림카로 GV70 뽑은 이유
  • “돈 없어서 수입차 사는 시대” 제네시스보다 저렴한 BMW, 불티나게 팔린다!
  • “BYD가 그렇게 좋다며?” 호평 일색 중국 전기차 아토3와 EV3 성능 비교

추천 뉴스

  • 1
    '교체출전' 송명근 17점…우리카드, 삼성화재에 짜릿한 역전승

    스포츠 

  • 2
    '빌보드 루키' 누에라, 소년 에이전트 첫 이야기 'New is Now'

    연예 

  • 3
    “여기가 국내 1호 해수욕장”… 케이블카·구름다리까지 유명한 해변 여행지

    여행맛집 

  • 4
    이대호 이후 롯데 붙박이 국대 기대감…22세 우타 외야수 초고속성장, 3할·20홈런 벽 뚫나

    스포츠 

  • 5
    젠슨황이 꿈꾸는 '피지컬 AI' 미래…현실로 이끌 바로 '이것'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중증외상센터' 인기에 원작자 화교설?…"군의관 출신, 화교 아니다"[MD이슈]

    연예 

  • 2
    “정말 이렇게 나온다고?” .. 449마력 벤츠, 홀딱 반해버릴 신차의 ‘정체’

    차·테크 

  • 3
    “이정후의 완전하고 건강한 시즌, 그러나…” 1631억원 외야수가 돌아와도 SF의 이 고민은 해결 안 돼

    스포츠 

  • 4
    '투수는 배찬승·야수는 제2의 강백호' 함수호, 청백전서 3안타 2득점 맹타…뜨거워지는 삼성 캠프

    스포츠 

  • 5
    “2월에도 다채로운 풍경”… 겨울에 더 완벽한 가족 여행지

    여행맛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