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군함 건조 시장 개방 법안 발의
한국 조선업, 60조 규모 시장 진출 기대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db462a5a-38a6-456d-bfa4-b736ad323b95.jpeg)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최근 미국 의회에서 외국 조선소에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 해군 함정은 자국 조선소에서만 건조하도록 규정돼 있었지만, 이번 법안이 통과된다면 한국, 일본 등 동맹국 조선업체도 미국 해군 함정 건조에 참여할 길이 열릴 전망이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c547e739-a69d-45d9-9d20-21a2f0d5a319.jpeg)
미국 내에서는 대중국 군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동맹국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번 법안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발의된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으로, 외국 업체가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예외 조항을 추가한 것이 핵심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이번 법안은 미국이 최근 몇 년간 제기해온 논의 중 가장 진전된 형태”라며 “한국 조선업체들에게는 직접적인 시장 진입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0b192e44-cf97-4f83-b55c-977ddf8f043d.jpeg)
그는 미국 내 조선업계의 정치적 영향력이 여전히 강력하다며 법안 통과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해군 함정 293척과 군수지원함 71척 등 총 364척의 함정을 건조해야 한다고 보고서를 제출했으며, 이를 위해 약 59조 원(401억 달러)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만약 한국 조선업체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면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큰 도약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조선업, 이미 준비는 끝났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ae816c34-e0df-414c-8920-9c1a4c3cf68e.jpeg)
한국 조선업계는 이미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준비해왔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6월 미국 필라델피아의 필리 조선소를 인수해 해군 지원함 유지·보수(MRO) 사업을 수주하며 기반을 다지고 있다.
HD현대중공업도 MRO 사업 진출을 선언하며 올해 2~3건의 계약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0b6c20bf-64ea-4676-88f7-3bbbfa618015.jpeg)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지난해 미국 해군 MRO 사업에 참여할 자격을 얻으며 차근차근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기대감이 반영되며 조선주 주가가 급등했다.
HD현대중공업은 13일 전 거래일 대비 15.36% 오른 35만 3000원으로 거래를 마치며 장중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0daf9e84-f16f-437b-b685-d71dbb551c93.jpeg)
한화오션도 15.17% 상승했고, 삼성중공업, HJ중공업 등 다른 조선 종목들도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한화그룹은 법안 발의와 함께 인수한 필리 조선소의 실적 반영 기대감으로 주가가 29.64%나 급등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조선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e125a415-3d0a-4975-8d5d-32793d1e46ab.jpeg)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조선업은 동맹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보낸 바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조선업은 국제적으로 무관세 품목으로 분류돼 있으며, 미국 내 경쟁 업체가 부족해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K조선업계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