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구는 작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후 대통령실과 대통령 관저 인근에 설치된 윤 대통령 응원 화환 2810개를 모두 철거했다고 14일 밝혔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작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되자 대통령실이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부터 녹사평역까지 이태원로와 대통령 관저가 있는 한남동 일대 보도와 도로변에 응원 화환을 설치했다.
화환을 철거하는 데에는 두 달이 걸렸다. 용산구 관계자는 “구체적 규정이 없어 단순 노상 적치물로 볼 것인지, 정치적 의사 표시를 담은 광고물로 볼 것인지 불분명했다”며 “(다른) 자치구 별로 화환 처리 방식과 화환에 대한 법률 자문 결과도 일관되지 않아 검토 과정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용산구는 작년 12월 말 화환을 ‘입간판에 준하는 유동광고물’로 처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화환을 관리하던 현장 자원봉사자 측이 자진해서 정비하고, 화환 업체가 무상으로 수거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달 17일 녹사평역 인근 100여 개 화환 철거를 시작으로 전날(13일)까지 이태원로, 한남동 이촌역, 삼각지역, 녹사평역에 설치된 화환을 단계적으로 정비했다. 용산구는 파손 상태가 심해 보행자 안전에 위협이 되는 화환은 자체적으로 먼저 수거했다.
용산구는 앞으로 비슷한 사례가 발생하면 어떻게 처리할지 검토 중이다. 화환을 즉시 수거한 후 설치한 소유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설치 업체에 자진 정비 명령을 내린 후 수거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화환 때문에 겪는 구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관련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