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GIST(총장 이건우)는 14일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2025년도 전기(2월)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60명, 석사 72명, 학사 128명 등 총 260명이 학위를 받았다.
학위수여식에는 베스트셀러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 ‘시대예보: 호명사회’ 등의 저자로 유명한 마인드 마이너 송길영 작가가 특별연사로 초청돼 졸업생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은 화학물리학과 김도훈 졸업생은 ‘Nano Letters’, ‘Advanced Science’, ‘Nature Communications’ 등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며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거뒀다.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김진우 졸업생은 초음파와 레이저 에너지를 융합한 질병 치료 및 진단 기술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Advanced Optical Materials’ 및 ‘APL Photonics’ 등에 논문을 게재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4년 대한민국 인재상’과 ‘제30회 삼성휴먼테크논문 대상’을 수상했다.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오세혁 졸업생은 재학 중 장경인 교수팀에서 ‘완전 매립형 무선 뇌신경 신호 기록기’ 개발에 성공해 파킨슨병 등 난치성 뇌질환의 진단 및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이 연구는 의공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게재됐다.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구진형 박사는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인정받아 전 세계 대학원생 67명 중 한 명으로 ‘구글 박사(PhD) 펠로우십’에 선발됐다.

그는 “재학 기간 동안 지도교수님을 포함한 학과 교수님들과 동료들의 도움 덕분에 연구에 집중하며 성장할 수 있었다”며 “함께 졸업하는 분들께 축하를 전하며, 소중한 앞날을 응원한다”고 전했다.
학부생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국제 SCI 학술지 ‘ChemSusChem’에 ‘광전기화학(photoelectrochemical)적 방법을 통한 친환경 수소 생산’ 관련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한 기초학부 최아영 졸업생은 “DGIST는 학생들에게 폭넓은 기회를 제공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독창적인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졸업 후에도 DGIST에서의 다양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건우 총장은 “DGIST 졸업생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며, 자신만의 행복을 찾아가고, 받은 것에 감사하는 겸손한 자세를 갖기를 바란다”며 “대한민국 과학기술 분야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로서 자부심과 책임감을 갖고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창립 21주년을 맞이한 DGIST는 지난 2011년 대학원 과정, 2014년 학부 과정을 개설한 이후 현재까지 약 2500명의 융복합 과학 인재를 배출해왔다.
올해 2월부터는 공학전문대학원과 의생명공학전공을 새롭게 운영하며, 오는 9월에는 세계 최대 공학교육 학술 행사인 ‘2025 세계공학교육포럼 및 공과대학장 세계대회(WEEF&GEDC 2025)’를 개최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