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글로벌 창업도시로 가는 길①]
1998년 벤처기업육성특별법 도입 후 국내 창업생태계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질적인 면에선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수도권 쏠림은 심화하고, 글로벌화는 더디기만 하다. 전문가들은 창업이 경제를 이끄는 동력으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창업생태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져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국가 차원을 넘어 지역 단위 맞춤형 창업생태계를 구축, ‘글로벌 창업도시’를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유니콘팩토리가 다각도로 짚어본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산업분야 청년벤처 스타트업 대표들과 오찬간담회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2025.2.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7babc237-e18e-4e46-a4c1-b6ca29b24060.jpeg)
#부산 366위, 대전 429위, 인천 458위. 스타트업 연구기관 스타트업블링크의 스타트업 생태계 경쟁력 순위다. 세계 1000여곳의 대도시 가운데 대한민국은 서울(21위)만 100위권에 들었을 뿐이다.
서울은 또 다른 스타트업 평가기관 ‘스타트업 지놈’의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GSER)에서 지난해 9위에 올랐다. 고무적인 결과이지만 지놈이 별도로 선정한 ‘떠오르는 창업생태계’ 100곳 중에 다른 한국 도시는 없었다. 사실상 서울 외에 내세울 창업도시가 없는 셈이다.
창업은 경제 전반은 물론 도시·지역 단위 경제의 활력 유지와 인구 유입에 적잖은 영향을 준다. 세계 각국이 창업 활성화 및 해외 스타트업 유치에 나선 이유다. 지난해 미국은 2.8%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주요 선진국 대비 우월한 실적이다.
미 연방준비제도 이코노미스트 출신 클라우디아 삼 박사는 그 배경에 미국의 스타트업 창업 열기가 있다고 봤다. 미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월별 40만건 이상의 창업 신청 건수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실은 극심한 수도권 집중에다 각 지역 창업생태계의 완결성 부족 등에 발목을 잡힌 형국이다.
![주요 도시 창업생태계 경쟁력 순위(2024년)/그래픽=윤선정](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cd68db88-69f2-417b-80a9-24ae891a5c5e.jpeg)
서울 빼면 내세울 것 없는 창업 현주소…제도·환경 개선을
━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 지역의 창업생태계 요소에는 창업보육, 인재유치 기회, 사업 및 실증 공간, 투자 접근성 등이 포함된다. 각 요소가 골고루 존재하면서 서로 연결돼 시너지를 내야 한다. 그중 사람의 ‘의식주’처럼 인재·투자·공간이 핵심으로 꼽힌다. 이게 잘 갖춰진 도시가 스타트업 시티(창업도시)다.
지금도 국내 여러 도시는 규제자유특구, 샌드박스와 같은 정책을 통해 창업육성에 나서고 있다. 부산은 항만의 낡은 창고를 글로벌 창업허브로 바꾸며 아시아 10대 창업도시 비전을 밝혔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해 “2030년 세계 100위권 창업도시를 4곳 키우겠다”고 말했다.
![(부산=뉴스1) 윤일지 기자 =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바운스 2024'(BOUNCE 2024)에서 일본, 호주, 미주, 유럽연합(EU), 중동 등 여러 국가의 도시 전문가들이 신생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현장 상담을 지원하는 '글로벌 오피스아워'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2024.10.1/뉴스1 /사진=(부산=뉴스1) 윤일지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e1d2c5a9-2868-48c1-ac3c-6536e59c2c9f.jpeg)
하지만 각 지역이 스타트업 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보완할 점이 적잖다. 애써 지역창업을 불 지펴도 스케일업을 위한 투자나 M&A(인수합병) 등을 위해 결국 수도권으로 나가곤 한다. 스타트업이 투자를 유치하고 기술을 고도화하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이 필요하다. 지역투자를 늘리는 벤처캐피탈에 세제 혜택을 주도록 법·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대안 중 하나다.
좋은 인재를 영입하는 데 생활·교육환경 등은 큰 걸림돌이다. 따라서 국내외 인재들이 거주하면서 일할 수 있게 비자 제도 및 정주 여건 등을 개선해야 한다. 이처럼 각 도시의 창업생태계에서 빠진 고리를 보완, ‘스타트업 시티’를 다수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부산경남 지역 기반 AC(액셀러레이터)인 시리즈벤처스 박준상 대표는 “정부가 지방시대 벤처펀드 등 다양한 투자기회 확대를 모색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좋은 인재를 모으기 어려우니 결국 서울로 가야 하는 경우가 생기고 스케일업이 어려워진다”며 “인재들이 이주할 때 메리트가 있도록 지자체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뉴스1) 유경석 기자 =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21일 전북자치도 전주시 전주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9회 스타트업 전북 창업대전'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10.2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전주=뉴스1) 유경석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5e9ecacd-18a1-494a-8833-1ee1db3f34d0.jpeg)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
- 민·관, 스타트업 생태계 머리 맞댄다…김성섭 차관 “혁신 필요”
- 리멤버앤컴퍼니, 자소설닷컴 흡수합병…”커리어 전주기 서비스”
- ‘총상금 4억’ 아산나눔재단,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참가 스타트업 모집
-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앞당긴다…”미국 GA와 협력”
- 빅크, K팝스타 총출동한 ‘한터뮤직어워즈’ 글로벌 단독 생중계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