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억→261억
전남 함편군 명물의 반전 스토리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422ab282-3604-4b80-966e-0ec93af36660.jpeg)
전남 함평군의 ‘황금박쥐상’이 세간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때 세금 낭비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이 조형물이 글로벌 경제 불안 속에서 금값이 치솟으며 오히려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됐기 때문이다.
금값 상승이 만든 ‘대박 투자’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8f0e6359-75d7-43da-bc81-52ca39c17814.jpeg)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기준 금 1g의 가격은 15만 8,870원으로, 올해 1월 2일 1g당 12만 8,790원에서 23%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급증한 결과다. 이에 따라 함평군이 2005년 제작을 시작해 2008년 완성한 황금박쥐상의 가치도 폭등했다.
황금박쥐상은 제작 당시 순금 162㎏과 은 281㎏이 들어갔고, 당시 재료비만 28억 3,000만 원이 투입되면서 혈세 낭비 논란이 거셌다.
하지만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금값 257억 3,694만 원, 은값 4억 1,840만 원으로 총 261억 5,563만 원에 달한다.
이는 초기 투자 비용 대비 10배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한 셈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비트코인보다 나은 투자”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관광 자원으로 재평가된 황금박쥐상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d0cc7e70-83ad-4a7e-a3fa-b6414731d4da.jpeg)
황금박쥐상은 한반도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황금박쥐(붉은박쥐)가 1999년 함평군 대동면 일대에서 집단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면서 제작이 추진됐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1급인 황금박쥐를 기념하기 위해 2005년부터 제작이 시작됐으며, 2008년 완공됐다.
당시 2.18m 높이, 1.5m 폭의 이 조형물은 예산 낭비 논란으로 지탄받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황금박쥐상이 전시된 황금박쥐생태전시관은 매년 함평나비대축제와 국향대전 기간 동안 수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71ffcbff-c970-4feb-9bfe-3a0927b20cee.jpeg)
실제로 지난해 국향대전 방문객 5만 1,599명 중 1만 9,890명이 황금박쥐상을 보러 다녀갔으며, 이는 나비곤충생태관(1만 1,918명), 식물전시관(1만 5,358명)보다 높은 수치다.
보안 시스템도 철저하다. 황금박쥐상은 3cm 두께의 방탄 강화유리가 둘러싸고 있으며, 적외선 감지 장치와 동작 감지기, 열 감지기 등 4중 보안 장치가 설치돼 있다. 24시간 보안업체가 감시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까지 갖춰져 있어 안전성이 확보됐다.
또한, 연간 2,100만 원의 보험에 가입돼 있어 파손 또는 분실 시에도 전액 보상이 가능하다.
황금박쥐상의 가치가 오르면서 함평군은 이 조형물을 활용한 다양한 관광 사업을 구상 중이다.
지난해에는 특별전시관으로 옮겨 365일 공개하는 상설 전시를 시작했고, 올해에는 황금박쥐 캐릭터 상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f1b6eb78-25ea-4165-aade-359879b3d14e.jpeg)
함평군 관계자는 “황금박쥐상이 함평군의 대표적인 관광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와 연계해 더욱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2008년만 해도 ‘대표적인 혈세 낭비 사례’로 꼽혔던 황금박쥐상은 이제 함평군의 효자 관광 자원으로 변신했다. 시간이 지나며 조롱받던 투자가 ‘대박 투자’로 재평가받는 이 사례가 앞으로 어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