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버드 뎁스. 사진=빅버드](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82/image-1b9aabf2-080e-4440-8428-8ece28f53631.png)
빅버드가 2025년 데이터 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지정되며, CCTV 데이터 가명처리 서비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이번 선정을 통해 공공기관 및 기업이 보유한 대량의 CCTV 데이터를 개인정보 보호법에 맞춰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빅버드는 CCTV 데이터 가명처리 솔루션 ‘빅버드 뎁스(Big Bird Depth)’를 통해 2차원 CCTV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데이터를 추정하고, 이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원본 영상은 삭제되고, 사람과 사물의 크기 및 위치 정보만 남기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모자이크 처리나 얼굴 흐림 기법과 달리 별도의 검수 없이도 개인정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CCTV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인해 기관 및 기업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지능형 교통 시스템, 스마트팩토리, 공항 및 선박 관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이 필수적이지만, 개인정보 보호 규제로 인해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빅버드 뎁스. 사진=빅버드](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82/image-d93b9fd9-8939-4610-9dbd-db148cb3c728.jpeg)
빅버드 뎁스는 CCTV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교통 관제 시스템의 경우, 주정차 차량과 교통사고 차량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악천후 시 차량 인식률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빅버드 뎁스는 3차원 거리 데이터를 활용해 차량과 사물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와 공항, 선박 관제 등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공장 내부 작업자의 움직임을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으며, 공항과 선박에서는 이동 동선 및 물류 흐름을 보다 정밀하게 관리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빅버드는 2024년 9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10대 유망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9월 두바이에서 열린 2024 ITS 세계 총회, 2025년 1월 미국 CES 2025 등 국제 무대에서도 기술력을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정소영 빅버드 대표는 “빅버드 뎁스는 개인정보 보호를 완벽하게 준수하면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라며 “2025년 데이터 바우처 공급기업 지정을 통해 보다 많은 기관과 기업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