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3 전당대회 이후 204일 만에 기자회견 나서
헌법재판소 편향성 비판…’대통령 복귀’ 강조
대선 출마 채비하는 타 주자들과 상반된 행보
지지율 정체 극복 과제…외연 확장 가능성 관건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헌법재판소의 불공정성과 편향성 문제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78/image-1a53b8c1-dc14-4457-8cdf-394330513f25.jpeg)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04일 만에 언론 앞에 섰다. 명분은 ‘국가 정상화’다. 지난해 7·23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후 잠행해 온 원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의 ‘헌법재판소 편향성’을 강하게 비판하며, 의회 독재와 비정상적인 사법부 행태를 바로잡기 위한 ‘대통령 복귀’를 우선적으로 내세웠다.
그간 SNS를 통해서만 메시지를 내왔던 그가 공개 행보에 나선 걸 두고 대권을 위한 ‘몸풀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원 전 장관은 조기 대선엔 명확히 선을 긋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유력 대권주자로 주목하는 건 위기에 빠진 보수를 재건할 적임자 중 한 명이라는 평가 때문이다. 넘어야 할 산은 높다. 잠행의 시간 동안 축소된 존재감, 전당대회 당시 네거티브로 실추된 이미지를 복원해야 한다.
원희룡 전 장관은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의 불공정성과 편향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헌법재판소가 공정성·국민신뢰를 잃고 헌법의 기본원칙을 피해서 도망다니는 ‘헌법도망소’로 전락하고 있다”며 “헌재가 어떻게 헌법의 근본 정신·원칙을 저버리고 있는지 핵심적인 사항만 국민께 고발한다”고 밝혔다.
원 전 장관은 헌재를 향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 정족수 문제 우선적 해결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셀프 임용’ 불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의 변론 기회 충분히 보장 등을 촉구했다. 당 주류인 친윤계와 같은 결의 주장이다.
원 전 장관이 기자회견을 자청한 걸 두고, 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 준비 차원이라는 말이 나왔다. 원 전 장관은 관련 질문을 받고 “내일(13일) 헌법재판 변론기일이 끝날 수도 있는 시급성 때문에 나왔다”라며 “지금은 공정한 헌법재판이 되도록 모든 힘을 기울이는 게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에 따라 대통령 복귀가 이뤄지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면서 “충분히 공정한 헌법재판이 이뤄진다면 대통령이 복귀해서 대한민국의 헌법적 사태를 수습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의회 다수당의 독재, 8명 헌법재판관의 재판 독재에 대해 주권자인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대권 도전에는 선을 그으면서 ‘국가 정상화’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국가 정상화’는 윤 대통령이 밝힌 비상계엄 선포의 목적이자, 국민의힘 강성 지지층의 윤 대통령 탄핵 반대 명분이다. 대권 도전을 공식화하거나, 적극적으로 세력화에 나선 여권의 또 다른 잠룡들과는 대비되는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데일리안](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78/image-e1109bd2-7d99-46df-b344-cfe4d1bac0ed.jpeg)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 전 장관을 ‘대권주자’로 주목하는 건, 그의 정치 여정 때문이다. 원 전 장관은 한나라당 시절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정병국 문화예술위원장과 함께 ‘남원정’이라 불린 ‘원조 소장개혁파’다. 2004년 3월 17대 총선을 앞두고 ‘차떼기’ 파동과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역풍으로 벼랑 끝까지 몰린 당을 살리기 위해 당 현판을 떼어 천막으로 옮긴 ‘극약처방’을 주도한 인물이 ‘남원정’이다.
‘남원정’과 ‘천막당사’ 이후로 20여년이 경과했음에도, 현재 국민의힘 내에 ‘남원정’과 같은 결기를 가진 소장개혁파가 전무한 상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 전 장관은 3선 의원에 최고위원·사무총장 등 핵심 중앙당직을 경험했고 재선 광역단체장에 장관도 지내 중앙·지방행정을 두루 섭렵, ‘보수 궤멸’을 막을 ‘구원투수’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원 전 장관과 가까운 국민의힘 관계자는 “3선 국회의원, 재선 도지사, 국토부 장관을 지내는 등 검증된 정책과 우파정부의 국정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고, 화물연대 문제 처리 등 국정현장에서 적극 실천했다”며 “(윤 대통령과는 대선 경선) 경쟁자였지만 정책본부장을 맡아 정권 창출에 주도적 역할 맡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전당대회부터 지금의 위기를 경고해 왔으며 진영에서 성장하고 신의를 지키는 정치인의 이미지가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국민의힘 관계자는 “원 전 장관은 (나설 때를) 기다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원 전 장관 측에 따르면 원 전 장관은 실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섣불리 대권을 염두에 두고 움직여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7월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나경원, 원희룡 당대표 후보가 입장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78/image-3bd58cfe-341e-4874-a7dd-4f3377b7c058.jpeg)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지지 기반이 겹치기 때문에 원 전 장관이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란 관측도 있다. 본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3~4일 100% 무선 ARS 방식으로 국민의힘 지지층 426명을 대상으로 ‘범여권 대선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원 전 장관은 2.2%를 기록했다. 반면 김 장관은 43.2%의 지지를 얻었다.
본보가 1월 6~7일 같은 방식으로 국민의힘 지지층 411명에게 물었을 땐 원 전 장관 지지율은 직전 조사(2024년 12월 23~24일) 대비 3.2%p 오른 17.6%였다. 당시 선두였던 오세훈 서울시장(18.7%)과는 1.1%p차였다. 김 장관이 여론조사에 포함된 후로 당 지지층 상당수가 김 장관으로 이동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당 일각에서는 원 전 장관이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한동훈 당시 당대표 후보에 대한 ‘과잉 견제’를 하며 그간 쌓아온 개혁 이미지를 깎아먹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원 전 장관이 당 지지층의 지지세 회복은 물론 외연 확장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그의 대권 가도를 좌우할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원 전 장관은 일찍이 탄핵 반대를 주장했으며, 현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불공정성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대권 행보 자체를 본격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김 장관보다 상대적으로 젊고 개혁적인 원 전 장관은 언제든 대안으로 지목될 수 있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