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방송된 MBC '손석희의 질문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79/image-f0149228-a5c1-4e26-812d-dd67806dbc32.jpeg)
MBC ‘손석희의 질문들’이 11일 방송에서 계엄과 탄핵이라는 혼돈 속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토론에 나섰다. 이날 진행자와 출연자들은 정의가 분명할 때 언론의 공정과 균형만을 얘기할 수 없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내란 세력 주장을 중립 차원에서 인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언론사 간 상호비평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유시민 작가는 이날 방송에서 기성 언론을 향해 “내란 세력과 호헌 세력에 대해 동등한 발언권을 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박성태 사람과사회연구소 연구실장(전 JTBC기자)은 “정치 지도자들이 (내란 세력과) 선을 긋고 경계해야 하는데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 같은 흐름이 언론보도로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김희원 한국일보 뉴스스탠다드실장은 “언론이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도구인데, 내란과 계엄이라는 헌정질서 파괴는 공정과 균형 이전의 문제다. 이건 당연히 선을 긋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는 “계엄의 징후들이 있었지만 언론의 정파적 편향이 있었다. 계엄설에 대한 탐사보도가 필요했으나 대다수 언론은 근거도 없이 계엄설을 가져왔다고 민주당 비판에 올인했다”고 지적했다. 유 작가는 “모든 (계엄) 동선에 경호처가 있는데 윤 대통령 공소장에 경호처 언급이 없다. 검찰은 경호차장 구속 영장도 반려했다”며 “이런 의문에 대해 어느 레거시 미디어도 얘기 안 한다. 지금도 언론은 이 사태에 진지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정준희 겸임교수는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여론이 각종 조사에서 높아진 것을 두고 언론을 향해 “여론조사는 부분적 사실에 불과하다”며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을 만드는 행위”를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유 작가는 “상식 있는 사람은 전화를 끊게 만드는 (문항의) 여론조사 결과를 그냥 받아쓰는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김희원 실장은 부정선거 등을 주장하는 전한길 강사 발언을 수백 건 인용하는 최근의 보도 행태를 두고 “참담하다”며 “마이크를 대줘야 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한테 마이크를 대주는 건 언론의 역할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년 넘게 온라인으로 속보 띄우고 조회수를 가져가는 것으로 (언론이) 영업을 해왔고 그게 너무 익숙해져서 (저널리즘) 규범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희원 실장은 이어 “받아쓰는 거보다 나쁜 보도는 틀리지 않은 팩트를 교묘하게 취사선택하거나 왜곡해서 내란을 정당화하고 사법부 불신을 야기하는 기사”라며 서부지법 폭동 이후 등장한 ‘법은 왜 짓밟혔나’라는 조선일보 기획보도를 언급했다. 김 실장은 “짓밟은 폭도는 어디 가고 부추긴 유튜버랑 목사님 어디 가고 뒷배가 돼 준 정치인들 다 어디 가고 야당하고 사법부가 불신을 자초했다는 이런 시리즈가 어떻게 이 시국에 나오나”라고 비판했다.
유시민 작가는 조선일보 등을 가리켜 “내란 세력과 호헌 세력 사이에서도 공정하게 중립적이다. 자유민주주의 제도에 몸담고 사는 언론사가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파괴한 행위에 대해서도 중립적으로 대한다. 말이 안 되는데 이렇게 살아왔다”면서 “대놓고 비판해야 한다. 언론의 자기비판, 언론사들끼리의 상호비판을 해야 하는 단계”라고 강조했다. 손석희 진행자 역시 “미디어의 상호 비평이 꼭 있어야 한다. 그게 아니고서는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요원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지난 11일 방송된 MBC '손석희의 질문들'. 손석희 진행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79/image-28f9034a-974d-4480-863e-b0c63cb0ce44.jpeg)
한편 정준희 겸임교수는 보수신문 중 윤석열 정부에 가장 비판적인 동아일보를 두고 “대통령실 용산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윤 정부가 갖고 있던 주된 정책 실패에 대해 상당히 강하게 사실에 토대를 두고 일관되게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보수적 가치의 관점에서 윤석열 정부를 평가하려고 했던 드문 예”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