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윤리적 개발·지속 가능성 모색하려던 AI 정상회의
유럽도 ‘AI 규제 완화’ 시사
![10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의 바스티유 광장에서 시위대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ca51e181-9e95-44a5-ab05-28790f187273.jpeg)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AI(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전 세계 수장이 모인 AI정상회의가 개막한 가운데 주요 국가인 미국과 영국이 공동 선언에서 빠지며 이번 정상회의가 실효성을 잃었다는 평이 나온다. 주최국인 프랑스 역시 AI에 대한 ‘규제 완화’를 시사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10일(현지 시각)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 정상회의에서 미국에 이어 영국도 공동 선언에 참여하지 않았다. 영국은 2023년 제1회 AI정상회의를 개최한 국가다.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정부 대변인은 “이번 성명은 AI 글로벌 거버넌스와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며 서명을 거부했다.
대변인은 “공동 선언 내용 중 상당 부분에 동의하며 국제 협력은 긴밀히 이어가고 있지만, 이번 선언엔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실질적인 명확성이 드러나지 않는 데다 국가 안보 등 어려운 문제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대신해 AI 정상회담에 참석한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유럽의 ‘과도한 AI 기술 규제”를 비판하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가장 강력한 AI 시스템을 미국에 구축할 것”이라고 밝힌 직후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11일(현지 시각) 밴스 부통령은 “AI의 안전성보다 기회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이 자리에 왔다”며 “AI 기술의 능력을 억제하는 게 아닌 촉진하기 위한 규제 체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AI정상회담의 목표였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AI에 대한 성명’ 공동선언문에 대한 서명을 거부했다.
한편 이번 공동선언문에는 각국이 더 윤리적이고 공정한 AI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약속이 담겼다. 그러나 AI정상회의를 주최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정상회의 연설에서 “(유럽은) 규제를 단순화할 것”이라며 유럽의 AI 규제 완화 가능성을 비쳤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2-0278/image-379790ef-df79-4501-92f8-dea679b30785.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