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지만 명품 브랜드들이 ‘남의 별 이야기’라는 듯 앞다퉈 가격을 올리고 있다.
보통 명품 브랜드들은 본사의 가격 지침에 따라 해가 바뀌는 연초에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데 불경기와 고물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올해도 연례행사처럼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프라다 홈페이지 캡처](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185/image-57be862b-aefc-4e9f-9f4c-24a6d261615e.jpeg)
11일 명품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브랜드 프라다는 오는 12일 대다수 제품의 가격을 약 5% 내외로 인상한다.
이에 앞서 지난 4일에는 카르티에가 전 제품 가격을 약 6% 올렸지만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백화점 매장의 경우 개장과 동시에 그날 대기 가능 인원이 마감되기도 했다.
카르티에는 반지 트리니티링 가격을 280만원에서 298만원으로, 시계 탱크 루이 스몰 사이즈를 1470만원에서 1560만원으로 각각 올렸다.
지난 5일에는 티파니앤코가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반지 T1링은 348만원에서 363만원으로, 목걸이 티파니락(스몰 펜던트·화이트골드·다이아몬드 세팅)은 650만원에서 680만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에르메스 홈페이지 캡처](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185/image-de7597dd-31ea-406d-978f-88a6b8955c17.jpeg)
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등 명품업계 대표 브랜드들도 지난달 일제히 가격을 올렸다.
에르메스로 지난달 3일 가방과 주얼리 등 주요 제품 가격을 평균 10% 이상 올렸다. 그 결과 버킨백 30사이즈 토고 가죽 소재 제품은 기존 1831만원에서 2011만원으로 2000만원을 돌파했다.
샤넬은 지난달 9일 핸들 장식의 플랩백 가격을 인상했고, 루이비통도 같은 달 18일과 24일 두 차례에 걸쳐 핸드백 가격을 올렸다.
이 밖에도 구찌와 롤렉스, 반클리프앤아펠, 태그호이어 등 유명 명품 브랜드들도 가격을 상향 조정했다.
![/롤렉스 홈페이지 캡처](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185/image-1ef08807-d721-4d1a-8126-f4054ad727ae.jpeg)
명품업계 한 관계자는 “거의 모든 명품 브랜드들이 연례행사처럼 가격을 올리면서 안 오른 브랜드를 찾기 힘들 정도”라며 “최근에는 1년에 몇 번씩이나 가격을 올리는 브랜드들도 있어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제품을 구매하려는 이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