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 잠재적 대선주자군으로 분류되는 비명(非이재명)계 정치인들이 연일 ‘야권 통합’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명시적으로 이재명 대표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야권의 헤게모니를 장악한 이들이 친명(親이재명) 그룹이라는 점에서 이는 ‘이재명 일극체제’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임종석 전 의원은 9일 SNS에 쓴 글에서 “당은 비판과 공론으로 떠들썩한 게 좋다”며 “내란 저지와 탄핵을 위해 함께 마음을 모았던 모든 역량을 오롯이 모아내야 국민과 함께하는 정권교체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임 전 실장은 “김경수·김동연·김부겸 모두 나서달라고 설득해도 모자랄 판에 인격적 공격을 하는 건 아니다”라며 “대표 옆에서 아첨하는 사람들이 한 표도 더 벌어오지 못한다. 갈라치고 비아냥대며 왜 애써 좁은 길을 가려는지 안타깝다”고 날을 세웠다.
지난 5일 유시민 작가가 비명계 대선주자들에 대해 “이 대표한테 붙어서 도지사가 된 사람(김동연 경기지사)이 사법리스크 운운하는 건 배은망덕”, “김부겸 전 총리는 역량을 넘어서는 자리를 이미 했다. 제3지대에 누굴 모으는 건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책과 유튜브를 많이 보라”,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착한 2등’이 되는 전략을 써야 한다. 지도자 행세하지 말라”, “임종석 전 실장은 다른 직업을 모색해보라”고 원색 비난한 데 대한 비판으로 보인다.
임 전 실장은 “지난 대선 때도 빨간불이 깜박이는 데 앞만 보고 갔다. 언론과 여론조사가 지속해서 경고음을 보냈지만 무시했다. 당내 역량을 통합하지 못한 정도가 아니라 밀어내기 바빴다”며 “이번에는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자료사진).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88/image-a6b5c72b-c0e5-4601-917c-e33355ccb63f.jpeg)
지난 7일부터 이날까지 호남 방문 일정을 소화한 김부겸 전 총리도 지난 8일 청년 대상 강연에서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DJ가 보여줬던(모습처럼), 국민들한테 상황을 솔직하게 설명하고 ‘이대로 서로 멱살잡이만 하다가는 조선처럼 몰락하는 길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며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분명히 우리가 어떻게 통합을 해내고 어떻게 공존해야만 한다는 비전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총리는 “요즘 이상하지 않나. 여론조사상 국가의 앞날을 내 팽개치고 계엄을 하는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나 우리나 비슷비슷하거나 우리가 좀 떨어진다고 나온다”며 “저도 처음에는 ‘여론조사가 장난이 심하다’고 했는데, 수치가 중요한 게 아니라 흐름이 중요하다. 분명히 뭔가 밑바닥에서 꿈틀거리는 흐름이 있다는 두려움이 들더라”고 위기감을 언급했다.
김 전 총리는 “박근혜 정권이 무너지고 촛불 시민혁명을 통해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더니 적폐 청산한다고 자기들 거의 다 청산했다, 축출했다, 이번에도 그렇게 될 거니까 우리가 똘똘 뭉쳐 막어야겠다(는 것)”라고 보수세력 결집 원인을 분석한 데 이어, 문재인 정부 당시의 청년·일자리·부동산 정책 등을 언급하며 “저런 것 때문에 여러분들한테 혼이 나서 문재인 정부가 정권 재창출을 못했고 그 아픔을 여러분이나 저나 지금 같이 느끼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고 반성적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지난 7일 광주 5.18묘역을 찾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전 총리는 9일까지 호남 방문 일정을 소화했다.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88/image-c46ebb3a-c02d-4484-8212-8e55b38b95b4.jpeg)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지난 7일 노무현재단 부산지역위원회 정기총회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건 노무현의 국민통합 정신”이라고고 역시 통합을 강조했다. 그는 “이 상태로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민주당을 더 키우고, 당에 실망해 떠난 사람들을 다시 돌아오게 해야 한다”고 재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요즘 내란 동조 세력이 늘어나고 윤석열 대통령 지지도가 상승하는 비상식적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상처받은 당 안팎의 사람들을 끌어안고 상처를 보듬어주지 않으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