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내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6차 변론기일을 앞둔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 헌재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05/image-58a53947-d60c-486f-bbc5-f702dc7ca0f1.jpeg)
[더퍼블릭=최얼 기자]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포함해 정계선·이미선 재판관의 편향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공정하게 진행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2030세대에서 유독 헌법재판소를 믿지못하겠다는 여론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지난 3~5일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6일 발표한 전화 면접 방식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52%,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3%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대는 ‘신뢰한다’ 대 ‘신뢰하지 않는다’가 40% 대 53%, 30대는 42% 대 54%였다. 반면 40대는 70% 대 24%, 50대는 58% 대 40%로 ‘신뢰한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60대는 51%대 46%, 70세 이상은 43% 대 44%로 ‘신뢰한다’와 ‘신뢰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비슷했다.
2030세대가 헌법재판소를 믿지 못하는 이유는 8명의 헌법재판관중 무려 3명이나 진보성향의 법관모임인 ‘우리법연구회’출신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문형배·정계선 재판관은 진보 성향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 출신이고 이미선 재판관은 그 후신인 ‘국제인권법연구회’ 소속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우리법재판소’라는 풍자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심지어 배우자 등 가족들까지 우리법연구회 소속이거나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국 선언에 참여하는 등 정치적 편향성이 알려지면서 공정성 논란이 더 확대되고 있다. 과거 우리법연구회에서 활동하던 판사 대부분 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요직을 차지하거나 판사직을 그만둔 후에도 민주당과 함께 ‘좌파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족들마저 깊게 연관돼 있는 것이다.
![김복형(왼쪽부터), 정정미, 정계선,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관 미임명 관련 권한쟁의심판 1차 공개변론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05/image-943bc15d-289b-4fe0-a95d-62cf395b2ed2.jpeg)
정계선 재판관의 경우 배우자인 황필규 변호사가 탄핵 촉구 시국 선언에 이름을 올렸고 황 변호사가 속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이사장이 국회 탄핵소추 대리인단 공동대표 김이수 변호사인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인해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탄핵심판 첫 변론기일이 있기 전인 지난달 13일 정계선 재판관에 대한 기피 신청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튿날 바로 헌재는 정 재판관을 제외한 7명 전원 일치로 기각했다.
헌재는 “재판관들의 일치된 의견”이라고 했지만 기각 사유는 밝히지 않았다. 일선 법원에서도 재판부 중 한 명의 배우자나 자녀가 근무하는 로펌 사건이 들어오면 사건을 재배당하거나 스스로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점에서 정 재판관과 그의 남편, 김이수 변호사 관계가 얽힌 국회 측 탄핵소추 대리는 석연치 않아 보인다.
이미선 재판관 남편도 논란의 대상이다. 이 재판관 역시 우리법연구회 출신이며, 배우자인 오충진 YK 대표변호사 역시 판사 시절 우리법연구회 출신이다. 오 변호사는 2019년 이미선 헌법재판관 임명 당시, 35억 원 상당의 주식이 부부 재산의 83%에 달했던 사실이 드러나며 불법 거래 의혹에 휩싸였다.
심지어 당시 이 재판관은 “주식투자는 남편이 알아서 다 했다”는 말로 해명했다. 이 재판관 부부의 전체 재산 규모는 42억6000만원으로, 이중 83%인 35억4887만원 상당을 주식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오 변호사가 이재명 대표와의 재판거래 논란이 불거진 권순일 전 대법관과 같은 법인에 근무하는 것도 논란이다. 권 변호사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과거 경기도지사 선거 때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정치생명이 끝날 위기 상황에서 대법원의 무죄 선고를 이끌어낸 인물로 잘 알려져있기 때문이다.
권 변호사는 2020년 9월 퇴임한 이후 그해 11월부터 변호사 등록을 하지 않고 김만배씨가 대주주인 화천대유자산관리의 고문으로 취업해 월 1500만원씩 총 1억5000만원을 고문료로 받은 혐의(변호사법 위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 ‘문형배 아내’ 청문회 의식한 시간차 상속 묻는질의에…헌법재판소‧文 ‘해명거부’
- 오염된 메모로 시작된 ‘내란 프레임’…뒤바뀐 진술들 그리고 민주당의 회유 논란
- 깐깐한 정형식 재판관의 송곳질문…尹탄핵심판 최대변수로 ‘급부상’
- [포토] 광화문부터 대한문까지 ‘대통령 탄핵반대 국민대회’ 참석한 시민들…”탄핵 무표” “이재명 구속”
- [포토] “부정선거 검증하라” 대전·세종 시민들도 외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