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지구에 소행성 ‘베누’ 충돌하면… “전 세계에 겨울 온다”

전자신문 조회수  

소행성 충돌 상상도. 사진=유럽우주국(ESA)
소행성 충돌 상상도. 사진=유럽우주국(ESA)

과거 공룡을 멸종시킨 소행성 충돌처럼,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 ‘베누’가 157년 후 지구에 겨울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5일(현지 시각) 미국 CNN 사이언스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센터(ICCP)는 IBS의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활용해 소행성 베누가 제구에 충돌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

소행성 '베누'.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소행성 ‘베누’.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직경 약 500m의 소행성 ‘베누’는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지구 근처의 소행성이다. 태양계 생성 초기인 45억년 전 생겼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소행성에는 탄소와 물이 풍부해 지구 생명체 기원과 초기 태양계의 비밀을 풀 열쇠로 꼽힌다.

천문학자들은 이 소행성을 연구한 결과 희박하지만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2182년 9월쯤 충돌 가능성은 0.037%(약 2700분의 1)로 예측된다.

소행성 '베누' 크기 비교.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프랑스 에펠탑보다 좀 더 크다.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소행성 ‘베누’ 크기 비교.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프랑스 에펠탑보다 좀 더 크다.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6600만년 전 소행성 충돌이 공룡을 멸종시켰기 때문에 아주 작은 가능성이 무시할 수는 없다. 때문에 연구진은 베누 충돌이 지구에 미칠 영향을 기후 모델과 알레프로 시뮬레이션해 확인했다.

베누 충돌 시 대기 중으로 1~4억톤(t)의 먼지가 분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여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소행성이 충돌한 후 3~4년 이내 지구 대기의 화학 및 기후가 극단적으로 교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충격으로 인해 분화구가 생기고 먼지 등이 충돌 지점 근처의 공중에 흩날리게 된다, 이후 강력한 충격파와 지진을 동반하며 충격으로 만들어진 대량의 에어로졸과 가스가 대기 중으로 떠오르며 지구의 변화를 변화시키고 영향이 이어진다는 것이 연구진 설명이다.

만약 바다로 떨어지게 되면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해 대량의 수증기가 대기를 뒤덮고, 수년 간 전 세계적으로 오존 고갈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요 저자인 란 다이 ICCP 박사후 연구원은 설명했다.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시나리오는 지구 대기에 4억톤의 먼지가 쏟아지는 것으로 이 경우 전 세계적으로 ‘임팩트 윈터'(impact winter)가 올 수도 있다.

다량의 먼지가 공기 중으로 높이 떠올라 햇빛을 모두 흡수하고 분산시켜버리면서 지구 표면에 햇빛이 닿지 못해 지구 온도가 최대 섭씨 4도가량 떨어지게 되고, 그 영향으로 지상에서 증발이 줄어들어 강수량은 최대 15% 떨어지게 된다. 오존층도 최대 32% 고갈될 수 있다.

먼지 입자는 최대 2년정도 가기 때문에 임팩트 윈터는 약 4년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 그 기간동은 식물은 광합성을 하지못해 20~30%정도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다고 한다.

반면 연구진이 놀란 부분은 해양 플랑크톤의 번성이다. 연구진은 바다의 플랑크톤이 빠르게 감소하고 아주 느리게 회복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시뮬레이션에서는 단 6개월만에 빠르게 회복했다.

베누에 철분 함량이 높아서 바다로 철분이 유입돼 규조류의 전례없는 개화를 촉진하고 규조류를 먹이로 삼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도 빠르게 늘어나는 것이다. 다이 연구원은 “플랑크톤의 번성은 생물권에 축복이 될 수 있다”면서 “지상의 생산성 감소와 관련한 식량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봤다.

다만 “(철분의 영향을 받는) 규조류가 늘어나게 되면 상대적으로 경쟁 열위에 있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막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이 연구원은 “소행성 충돌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향후에는 초기 인류에 소행성 충돌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모델링해 확인하고 그들의 생활 주기와 식량을 찾는 방법에 대해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전자신문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겨울 도시' 하얼빈 녹인 '라일락 성화'…동계 AG 화려한 개막
  • “중국제품 아니죠?”, “한국산 아니면 안 돼요” … 전 세계가 열광하는 韓 제품의 ‘비밀’
  • 엄청 잘생긴 외모에 아버지가 "대기업 창업주"여서 난리난 남자가수
  • 월세방 반지하살던 공채 개그맨에서 월 8천만원 번다는 개그맨
  • [집중분석]대통령은 결사 항전 중인데…잿밥만 욕심내는 여권 내부자들의 파렴치
  • [오늘의 생생와인] 우아하지만 강렬한 샴페인 파이퍼하이직 로제 소바쥬 브뤼

[뉴스] 공감 뉴스

  • 트럼프 "김정은과 관계 맺겠다"…日이시바 "완전한 北비핵화 협력"
  • 금리하락기 단기자금 운용 전략, 단기채권에서 찾다[도와줘요 자산관리]
  • [BOK이슈] ‘환율방어 구원투수’ 환헤지는 국민연금 수익률에 부정적일까
  • "딸, 1561만원이면 부담 없지?"…작정 할인 돌입한 '쉐보레 SUV'
  • [정책 인사이트] 고향사랑 기부금 상한액 낸 6명은 누구?
  • 다음주 의사 인력수급추계위 공청회… 의정,'의대 감원' 명시 여부 등 온도차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첼시와 의리 지키고 싶었다'…AC밀란 수비수, 토트넘 이적 거부 이유

    스포츠 

  • 2
    "얼음 띄우지 마세요…" 겨울철 많이 마시는 '이 음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여행맛집 

  • 3
    '겨울왕국' 하얼빈 녹인 '라일락 성화'…동계 AG 화려한 개막

    스포츠 

  • 4
    "아스날, 케인 영입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바이아웃 금액 점점 하락

    스포츠 

  • 5
    도내동 일식당 맛집 BEST3 추천

    여행맛집 

[뉴스] 인기 뉴스

  • '겨울 도시' 하얼빈 녹인 '라일락 성화'…동계 AG 화려한 개막
  • “중국제품 아니죠?”, “한국산 아니면 안 돼요” … 전 세계가 열광하는 韓 제품의 ‘비밀’
  • 엄청 잘생긴 외모에 아버지가 "대기업 창업주"여서 난리난 남자가수
  • 월세방 반지하살던 공채 개그맨에서 월 8천만원 번다는 개그맨
  • [집중분석]대통령은 결사 항전 중인데…잿밥만 욕심내는 여권 내부자들의 파렴치
  • [오늘의 생생와인] 우아하지만 강렬한 샴페인 파이퍼하이직 로제 소바쥬 브뤼

지금 뜨는 뉴스

  • 1
    하얼빈 빛낸 화려한 AG 개회식, 韓13번째 입장

    스포츠 

  • 2
    르브론 제임스, 40세에 40점 기록하며 또 다른 신화 작성

    스포츠 

  • 3
    하얼빈 아시안게임, 박지원의 강력한 메달 사냥 시작

    스포츠 

  • 4
    정선희 "'여걸식스' 시절 강동원과 회식, 조혜련이 못 도망가게 붙잡아" [조동아리]

    연예 

  • 5
    亞 최대 겨울축제 개막…韓 종합 2위 향해 달린다[동계AG]

    스포츠 

[뉴스] 추천 뉴스

  • 트럼프 "김정은과 관계 맺겠다"…日이시바 "완전한 北비핵화 협력"
  • 금리하락기 단기자금 운용 전략, 단기채권에서 찾다[도와줘요 자산관리]
  • [BOK이슈] ‘환율방어 구원투수’ 환헤지는 국민연금 수익률에 부정적일까
  • "딸, 1561만원이면 부담 없지?"…작정 할인 돌입한 '쉐보레 SUV'
  • [정책 인사이트] 고향사랑 기부금 상한액 낸 6명은 누구?
  • 다음주 의사 인력수급추계위 공청회… 의정,'의대 감원' 명시 여부 등 온도차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추천 뉴스

  • 1
    '첼시와 의리 지키고 싶었다'…AC밀란 수비수, 토트넘 이적 거부 이유

    스포츠 

  • 2
    "얼음 띄우지 마세요…" 겨울철 많이 마시는 '이 음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여행맛집 

  • 3
    '겨울왕국' 하얼빈 녹인 '라일락 성화'…동계 AG 화려한 개막

    스포츠 

  • 4
    "아스날, 케인 영입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바이아웃 금액 점점 하락

    스포츠 

  • 5
    도내동 일식당 맛집 BEST3 추천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하얼빈 빛낸 화려한 AG 개회식, 韓13번째 입장

    스포츠 

  • 2
    르브론 제임스, 40세에 40점 기록하며 또 다른 신화 작성

    스포츠 

  • 3
    하얼빈 아시안게임, 박지원의 강력한 메달 사냥 시작

    스포츠 

  • 4
    정선희 "'여걸식스' 시절 강동원과 회식, 조혜련이 못 도망가게 붙잡아" [조동아리]

    연예 

  • 5
    亞 최대 겨울축제 개막…韓 종합 2위 향해 달린다[동계AG]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