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로 영구동토 지역의 얼음이 녹으면서, 땅 속에 묻혀있던 동물사체가 노출돼 수백 년간 잠자고 있던 탄저균이 퍼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질병 확산에 대비해 정부 주도로 탄저백신 비축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탄저균은 기후변화에 따라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활성화될 수 있고, 최근 오물풍선도발 상황에서 생화학테러 가능성도 제기됐던 만큼, 정부는 국내 탄저백신 상용화를 포함한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베리아 서부 극지방에서는 최근 지구온난화 여파로 5만년 동안 얼어있던 얼음층이 녹으면서 매머드, 순록 등과 같은 동물들의 사체들이 발견되고 있다. 문제는 탄저병으로 죽은 사체가 노출되면서 동물은 물론, 인간으로 병원체가 전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의료·보건계에서는 영구동토층에 갇힌 바이러스가 동물과 사람 등으로 퍼져나갈 시 코로나 19처럼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직면해 지구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험성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미국, 영국, 중국 등의 주요 국가는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자체 탄저백신을 개발해 비축량을 늘려가고 있다. 미국은 1972년 탄저백신 허가에 성공해 성인 인구의 최대 7.5%를 공급하고 있으며, 영국은 1979년 허가 취득 이후 성인 인구의 3.7%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내 토종 백신 개발의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본격적인 상용화와 비축까지는 불분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질병청과 녹십자가 2002년 국립보건원 정부 용역과제로 세계 최초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개발에 성공했고, 위기대응 의약품으로 상용화하기 위해 2023년 10월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지만 승인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탄저백신 비축 등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대 국회에서 기후환경 전문가로 꼽히는 김 의원은 “기후보건이라고 할 만큼 기후위기 적응 정책에서 보건 영역이 매우 중요해졌다”라며 “기후보건 어젠다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지 않도록 한국형 기후보건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