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준 부산시장은 7일 지역 전기차 혁신의 중심지인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을 방문했다. 이 방문은 국내 최초로 내연기관 공장을 전기차 공장으로 전환한 르노코리아의 도약을 지원하고 세계적 전기차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준비 중인 노력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이뤄졌다. 단일 생산라인에서 내연기관은 물론 전기차 생산까지 가능하도록 전환한 사례는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이 국내 완성차 업계 최초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공장은 올해 1월 전기차 양산을 위한 설비공사를 마치고 2월 재가동을 시작했다. 하반기부터 폴스타4 전기차 양산에 본격 돌입해 미주 등 해외로 수출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향후 미래차 프로젝트를 유치하면 본사 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는 부산의 경제 성장과 함께 전기차 산업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 대목이다.
박 시장은 이날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최고 경영자와 만나 투자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역 재투자와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르노코리아의 세계적 프로젝트 ‘오로라 프로젝트’의 첫 작품인 그랑 콜레오스의 성공적 판매도 축하했다. 후속 모델인 오로라2·오로라3의 성공적 출시를 위한 지원대책과 올 연말 설립 예정인 부산에코클러스터 추진사항에 대해서도 점검했다.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이번 생산 라인 전환과 시와의 협력 강화를 계기로 미래차 생산에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시는 르노코리아가 세계적 미래차 산업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현장 맞춤 행정지원과 상생협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상생협력 사업에는 수출주도 미래차 혁신성장 기술지원사업(313억 원)과 미래차 상생협력형 핵심부품 연구개발 지원사업(120억 원)이 포함된다. 박 시장은 “르노코리아는 부산의 자랑스러운 1등 기업으로, 전기차 생산 전환은 지역 경제를 혁신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중요한 기회”라며 “기업이 성장하고 혁신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7월 르노코리아 현장 방문 시 제기된 건의사항을 적극 수용해 부산공장 인근 도로명을 ‘르노삼성대로’에서 ‘르노대로’로 변경 부여한 바 있다. 이는 시 원스톱 기업지원 1호 책임관으로서의 역할을 보여주는 사례로, 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는 시의 의지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