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조선 ‘빅사이클’(초호황기)에 따른 수주 증가 효과에 조선 회사들의 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데 이어 방산 회사들의 실적도 연이은 수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증시에서 재계 주요 그룹 시가총액 순위가 이를 반영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가 한국거래소를 통해 2023년 말부터 최근까지 약 1년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포함된 주요 기업들의 시가총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LG그룹이 SK그룹에 2위를 내주고, HD현대와 한화그룹이 5·6위로 가파르게 순위가 오르는 등 변화가 컸다. 포스코그룹과 카카오·네이버 등 기존 주요 산업 대표 기업들도 순위가 하락했다.
당장 6일 국내 ‘빅3’이자 수주잔고 기준 세계 1위 조선업체인 HD한국조선해양이 2019년 통합법인 출범 후 최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선 ‘빅사이클’(초호황기)에 따른 수주 증가 효과가 실적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회사는 미국과의 협력 가능성 등으로 올해도 좋은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1조4천341억원으로 전년보다 40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25조5천3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9.9% 증가했다. 순이익은 1조4천546억원으로 903.9% 늘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400% 넘게 급증하며 1조5천억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HD한국조선해양이 2019년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를 자회사로 둔 조선 중간 지주사로 출범한 후 최대 실적이다.
조선 빅사이클이 시작된 2022년 이후 수주한 선박들이 지난해부터 인도되면서 수익성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선박 수주 계약의 대부분은 헤비테일 계약(선수금을 적게 받고 인도 대금을 많이 받는 형태의 계약)이라 선박 인도 시기에 수익성이 가장 높아진다.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조선 및 방산 분야가 두각을 보이는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HD현대그룹과 한화그룹으로 꼽았다. 2023년 말 8위였던 HD현대그룹은 약 1년 새 시총이 2.3배로 늘어나며 5위에 올랐다.
한화 역시 시총이 23조1000억원 증가하며 이 기간 10위에서 6위로 뛰어 포스코·카카오·네이버를 제쳤다. 두 곳의 공통점은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수주 소식이 잇따르고 있는 조선·방산이 주력이라는 점이다. K조선 ‘빅3’ 중 2곳인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이 각 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또 한화그룹의 주력 방산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작년 3분기 기준 수주 잔고가 29조9000억원에 달하며 주가가 2023년 말 대비 3배 이상이 됐다. 전력 인프라 기업인 HD현대일렉트릭은 AI 바람 속 전력 수요가 많은 데이터센터 건설이 이어지며 작년 코스피 시장 주가 상승률(377%) 1위를 하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