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국내 플랫폼 기업 중 처음으로 연간 매출 10조원 고지에 올랐다.
네이버는 7일 연결 기준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2조885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7% 늘어난 5420억원을 기록, 시장 전망치(5311억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연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 성장한 10조7377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늘어난 1조9793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연간 매출 10조원을 달성한 것은 네이버가 처음이다.
네이버는 2018년 처음으로 매출 5조원을 찍었고 이후 신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며 6년만에 ‘매출 10조원’ 역사를 썼다.
지난해 네이버는 전 사업부문이 동반 성장하면서 매 분기 최고 실적을 경신해 왔다.
4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서치플랫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4.7% 상승한 1조64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9.9% 증가한 3조9462억원에 달했다.
커머스는 작년 10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와 멤버십 제휴 등 효과에 힘입어 4분기 7751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7.4% 신장했다.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8% 늘어난 2조9230억원이었다.
이밖에 핀테크 부문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4009억원, 콘텐츠 부문은 0.2% 상승한 4673억원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사업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1% 급증한 1766억원을 기록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올해에는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온서비스 AI 전략을 본격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로, 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하여 궁극적으로 네이버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커머스에서는 상반기 새롭게 출시될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을 통해 검색 중심의 쇼핑 경험을 개인화된 탐색 중심으로 확장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는 이날 주주총회 공시를 통해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 이사 복귀 안건을 공지했다.
3월 주총에서 안건이 통과되면 2017년 자리에서 물러난 이 창업자는 7년만에 이사회 의장에 복귀하게 된다.
‘은둔의 경영자’로 불린 이 창업자는 2017년 3월 “회사 사업에만 매진하겠다”며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났고 이듬해에는 19년만에 등기이사직도 내려놨다.
경쟁사 카카오가 오픈AI와 공동전선을 형성하고 중국 딥시크(Deepseek)가 글로벌 AI 산업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 창업자의 복귀는 네이버가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딥시크 등장을 계기로 후발 주자도 오픈AI 같은 선두 기업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상황”이라며 “인터넷 시대를 이끈 이 의장의 복귀 역시 네이버가 한국판 딥시크 같은 LLM을 만들고, 이를 사업화까지 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