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뉴스1](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73/image-704a8a36-01bc-4f20-8e78-d1c3c1cec01c.jpeg)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약 400억원 규모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중국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는 만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등 기술 수준을 높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도 국내 기업이 선도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 R&D에 대한 신규 지원 공모를 시작했다. 지원 대상으로는 중소·중견기업, 대기업뿐 아니라 대학, 연구소 등도 포함했다.
지원 규모는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 등 연구개발과제 유형과 지원 대상에 따라 차별화했다. ‘원천기술’이 일반적으로 기존 기술 등에서 파생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개발된 혁신적이고 새로운 기술을 뜻하는 만큼, 원천기술형 R&D에 대한 지원 비중이 더 크다.
구체적으로 원천기술형 R&D는 비용의 최대 50%를 대기업에 지원한다. 중견기업에는 최대 70%, 중소기업에는 최대 75%를 보조해 준다. 혁신제품형 지원 비율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에 각각 33%, 50%, 67%다. 대학과 연구소는 과제 유형과 상관없이 10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 예산을 387억6600만원으로 책정했다. 과제 종류는 40개에 달하는데,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생태계 구축사업 ▲초고해상도 아몰레드 기반 초실감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차세대모빌리티용 극한환경적용 OLED 기술개발 ▲메타버스를 위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R&D 기간은 과제별로 1~4년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디스플레이·확장현실(XR) 분야 R&D 신규 지원 유형. /산업통상자원부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73/image-c240c63e-d472-4b1d-9f3b-d058c14424f3.jpeg)
정부가 디스플레이 산업 지원에 나선 배경에는 ‘중국의 맹추격’이 있다. 일례로 지난해 9월 미국 시장조사 전문업체 DSCC는 플렉시블 OLED 시장에서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 BOE가 2028년 24~2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삼성디스플레이를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 비전옥스가 2028년 14%의 점유율로 플렉서블 OLED 시장에서 3위로 올라설 것으로도 내다봤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의 OLED 시장 점유율은 2023년 기준 74%로 중국보다 훨씬 앞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디스플레이 시장이 앞으로도 한층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세제 지원에 더해 R&D 보조금 지원으로 더 확실하게 우위를 지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산업부는 상용화되지 않은 확장현실(XR)의 시장 선점을 위한 R&D도 27억원 규모로 지원하기로 했다. 공간컴퓨팅 구현 첨단XR 디바이스·부품 통합형 기술개발이 주요 지원 사업이다. 지원 조건은 디스플레이 분야와 같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XR 기기는 메타·애플 등 빅테크가 주로 제조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아직 제품을 내놓은 기업이 없는 상황”이라며 “대기업 외에도 기기 부품, XR 콘텐츠, 서비스 등 전 분야 기업들이 참여해 국산 디바이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4~5월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협약을 체결한 뒤, 산정된 R&D 예산을 바탕으로 보조금을 선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는 1~3월을 제외한 9개월 치를, 내년부터는 1월에 1년 치를 전부 지원한다. 다만 기술 개발이 사업 성과로 이어질 경우, 보조금을 받은 기업은 해당 기술로 인한 매출의 일정 비율을 ‘기술료’로 정부에 납부해야 한다. 산업부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기술료 상한을 각각 정부 지원 보조금의 10%, 20%, 40%로 설정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