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김부겸·김경수…목청 커진 李 대항마
지난 대선 패배책임론까지 협공 포인트 다각화
박지원 “총부리 앞으로 향한 내부분열은 안 돼”
“국민 공감 얻을 수 있는 아젠다 발굴해야” 지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78/image-2863b5f1-08c5-41dc-aa05-c30e5355a0cc.jpeg)
가시화되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이 ‘협공’에 나선 모양새다. 중도층 포섭을 위한 이재명 대표의 ‘우클릭’ 행보를 비판하는가 하면, 지난 대선패배의 원인이 이 대표에 있다는 식이다. 반면 친명 주류에선 이들의 공세에 별다른 타격감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정권교체라는 목표 앞에서의 분탕질에 불과하다는 폄하까지 나온다.
6일 야권에 따르면 당내 대권 구도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한 이 대표는 최근 실용주의를 기치로 전폭적 우클릭 행보에 나서며 정치권 이슈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비명계는 ‘이재명 일극체제’를 비판하며 당내 통합을 강조하고 있지만, 친명 진영에서는 ‘때늦은 투정’이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실정이다.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재명이 아니더라도 정권교체는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며 “수권정당·정책정당·미래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 최근 이 대표가 애쓰고 있는 것을 알지만 이재명 혼자 모든 걸 잘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재명 일극체제를 비판하며 당내 통합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비명계 대권 잠룡 ‘3김'(김경수·김부겸·김동연) 중 한 명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전날 “민주당만으로 총선을 치렀으면 지금 같은 결과를 얻었을까”라며 “총선에서는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 구호로 민주당에 실망했던 유권자조차 투표장으로 나갈 수 있는 그런 판이 만들어졌지만, 대선에서는 쉽지 않다”고 통합을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최근 민주당에 복당을 신청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민주당이 김경수 전 지사와 임종석 전 실장의 비판 정도는 충분히 받아내야 당 지지가 올라간다”며 “민주당의 생명력은 포용성·다양성·민주성”이라고 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같은 날 이 대표의 최근 우클릭 행보를 두고 “실용적 접근은 맞지만 실용주의가 목표이자 가치가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5선 중진의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공격을 위한 공격이라도 결국 당이 잘 되자는 소리”라면서도 “민주 정당이니까 여러 소리가 나오지만, 작금의 시대 정신은 ‘윤석열 퇴진’이고 세대의 혁신은 ‘정권 교체’인데 (비명계가) 총부리를 앞으로 향해 우리끼리 싸우는 모습을 보이면 국민들이 보기 흉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078/image-483e40c2-0ea5-4c26-9d51-591e928d3ae0.jpeg)
당내에서는 일부 강성 친명(친이재명)계를 제외하면 이같은 비명계의 협공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분위기다. 익명을 원한 초선 의원은 “타격감도 없고 관심도 없다. 누가 메시지 냈다고 하면 ‘그렇구나’ 하는 수준”이라고 했고, 다른 초선 의원은 “민주당이 어느 때보다 이재명 체제로 통합돼 있는 상황에서 밑도 끝도 없이 통합을 요구하는 것은 투정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반면 비명계를 향한 일부 친명계 의원들의 직접적인 비난 목소리도 있다. 강성 친명으로 꼽히는 최민희 의원은 전날 MBC라디오에서 “비명계가 움직인다는 건 조기 대선이 확실시된다는 의미”라며 “‘나도 대선 뛸 거야’ 혹은 ‘내가 후보가 되거나 아니면 이 큰 판에서 역할하고 싶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이재명 일극체제’라는 비명계의 비판에 대해서는 “무슨 총칼로 이룬 일극체제도 아니고 검찰 권력을 행사한 것도 아니지 않느냐”라며 “그 순기능을 인정하고 시작을 해야지, 이 대표의 그런 고난 극복의 길에 대해서 다들 동의하고 있는 지지자들에게 상처를 주기 시작하면 곤란하다. 임종석은 스스로 성찰이라는 것을 해봤느냐”라고 정면 반박했다.
외부에서는 비명계를 향한 인신공격성 발언까지 나왔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전날 한 유튜브에 나와 김동연 지사를 향해 “이 대표에 붙어 지사가 된 사람”이라고 폄훼했고, 김부겸 전 총리에 대해선 “노력을 안해서 안 똑똑하다”고 했으며, 김경수 전 지사를 향해선 “지도자 행세 하지 말라”고 비난을 퍼부었다.
친명계로 꼽히는 초선 의원은 “아무리 밖에서 비판 메시지를 낸들 정치는 시류가 있고 대세가 있고 판이 있다”며 “정권교체라는 소명을 앞두고 시작된 분탕질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 바른 소리 한다고 해도 결국 이 대표를 때려 체급을 불리기 위한 목적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계파색이 옅은 민주당 중진 의원은 “윤석열 탄핵 정국에서 당의 정책적 방향에 대해 사사건건 내는 비판 메시지는 자칫 공격을 위한 공격으로 비춰질 수 있다”며 “당의 정신·정체성만 강조할 게 아니라 국민을 설득하고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아젠다를 발굴하면서 제안하는 등 비판만이 아닌 다른 방식을 고안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