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고용부, 작년 임금체불 사업주 체포영장 집행 25%↑

조선비즈 조회수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대전세종건설기계지부 조합원들이 임금 체불 해결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대전세종건설기계지부 조합원들이 임금 체불 해결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운전전문학원 대표 A씨는 근로자 13명의 임금 및 퇴직금 등 총 4억200만원을 체불한 혐의로 작년 12월 10일 구속됐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A씨는 학원경영과 관계없는 배우자 등에게 총 9억원을 주면서 10년 가까이 임금을 체불해왔다. 아르바이트 근로자 1명의 임금 300만원을 주지 않고 버티던 카페 사장 B씨는 작년 10월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잠복 중인 고용부 근로감독관에게 검거됐다. 그는 10차례 이상 노동청의 출석요구에 불응하는 등 연락을 피해 왔다고 한다.

이렇게 근로자에게 임금을 주지 않고 버티다 고용부에 구속·체포되거나 압수수색을 받는 사업주가 해마다 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임금체불이 큰 범죄가 아니라는 ‘안일한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판단하고, 사회적 경각심 높이기 위해서라도 강도 높은 수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임금 안 주고 버티는 사업주 해마다 늘어

고용부는 작년 근로자 임금을 체불한 666명에 대해 체포영장을 집행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533명)보다 24.95% 늘어난 것이다.

또 고용부는 작년 임금체불로 통신영장 548건, 압수수색 109건을 집행했다. 통신영장은 전년보다 37.69%, 압수수색은 15.96% 증가했다. 작년 임금체불로 구속수사를 받은 인원은 16명으로, 전년보다 1명 늘었다.

임금체불 사업주에 대한 고용부의 수사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체포·통신영장 집행과 압수수색, 구속수사를 모두 합쳐 작년 기준 총 1339건이다. 2021년 693건을 시작으로, 2022년(776건), 2023년(1040건) 등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였다.

고용부가 작년 임금체불 사업주에게 체포영장을 집행한 주요 사례를 보면 이들 대부분은 노동청의 연락을 회피해오다 붙잡혔다. 일부는 근로감독관이 직접 찾아가자 신분을 숨기는 식으로 수사를 피하기도 했다고 한다. 체불 금액은 적게는 40만원대부터 많게는 3000만원가량이었다.

일부 사업주는 근로감독관에게 검거되자마자 곧바로 체불 임금을 청산하기도 했다고 한다. 임금 지급 능력이 있는데도 주지 않고 버텨왔던 것이다.

구속 수사를 받은 사업주는 악의적이고 상습적으로 근로자 임금을 체불했다. 타인 명의 휴대전화나 금융계좌를 이용해 수사를 회피하면서 가족 등에게 재산을 은닉하는 식이다. 임금체불로 105건의 신고를 받은 사업주도 있었다. 체불금액만 수억원에 달했다.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원들이 구영배 큐텐 그룹 대표에 대한 법원의 구속영장 청구 기각 결정 규탄 집회를 하고 있다. /뉴스1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원들이 구영배 큐텐 그룹 대표에 대한 법원의 구속영장 청구 기각 결정 규탄 집회를 하고 있다. /뉴스1

◇임금체불액도 해마다 최고… “임금 올라 총액 증가”

작년 임금체불액은 2조448억원으로, 전년(1조7845억원)보다 14.6% 늘었다. 역대 최고액이다.

작년 임금체불액이 늘어난 원인은 복합적이다. 건설업 경기 불황에 법정 관리에 돌입한 대유위니아와 티몬·위메프(큐텐) 등 일부 대기업의 집단체불이 겹친 탓이다.

작년 주요 업종별 임금체불액을 보면 건설업이 4780억원으로, 전년보다 9.6% 늘었다. 또 대유위니아는 1197억원, 큐텐은 320억원 규모의 근로자 임금을 주지 못했다.

고용부는 또 해마다 늘어나는 임금으로 체불 임금 역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작년 역대 최고 대규모인 1조6697억원의 체불임금을 청산했지만, 아직 남은 체불액은 전년보다 많다.

이에 고용부는 임금체불 사업주에 경제적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법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임금체불로 명단공개가 된 사업주에 대한 출국금지 근거 마련에 나선다. 또 대지급금을 받고 1년이 지나거나, 2000만원 이상 내지 않는 사업주의 정보를 신용정보기관에 제공하는 식이다.

김유진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임금 체불 관련 구속 수사를 강조하는 것은 지역사회에서 입소문이 나는 게 (경각심을 높이는 차원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은행 융자는 (꼬박꼬박) 내면서 임금은 안 주는 인식을 가진 사업주가 꽤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안일한 인식을 바꿔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실적 침체·주가 부진… 신세계인터내셔날 ‘돌파구’ 찾을까
  • LG유플러스, 연내 익시오 부분 유료화 도입
  • 탄핵심판 핵심 쟁점 된 홍장원 메모 변질 가능성 왜?
  • LG CNS, 작년 매출 6조 '역대 최대' 실적...클라우드·AI분야 고성장세
  • 내란과 극우를 어떻게 제압할 것인가
  • 아주대 연구팀, 단일 픽셀 이미지 정보 처리 할 수 있는 광센서 소자 구조 개발

[뉴스] 공감 뉴스

  • 스플랩, ‘K-일러스트레이션페어’에 B2B 네트워킹 솔루션 ‘우모’ 제공
  • [우크라이나의 창] 이국에서 고향 신흥동 1가 6번지를 생각하다
  • 친기업 깜빡이 켠 정치권…'희망고문'은 안돼 [view & insight]
  • 구조개혁 집착하던 국힘, 모수개혁부터 가능성 열어
  • 이인영 '이재명 우클릭' 비판글에 김동연 맞장구…뭐랬길래
  • “역시 다르네” 디지털 트윈 활용…CT·MRI 대기일도 미리 예측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24기 옥순, 영수·영호·영철·영식·상철 표 싹쓸이…사상 초유 5:1 데이트

    연예 

  • 2
    '역시 연봉킹' 김하성 위상 이정도, 등번호도 쉽게 양보받았다 "TB 역사상 최고의 7번으로 자리매김할 것"

    스포츠 

  • 3
    "이천에서 하면..." LG 최고참은 왜 2년 연속 국내에서 몸 만들까, 직접 밝힌 이유

    스포츠 

  • 4
    600억 재산설 전현무, "출연료 몇천배 됐겠다"

    연예 

  • 5
    KIA만 빼고 모두의 테스형? 가족이 대만행 반대했는데 KBO 복귀는 가능할까…63홈런 매력, 유력한 시나리오

    스포츠 

[뉴스] 인기 뉴스

  • 실적 침체·주가 부진… 신세계인터내셔날 ‘돌파구’ 찾을까
  • LG유플러스, 연내 익시오 부분 유료화 도입
  • 탄핵심판 핵심 쟁점 된 홍장원 메모 변질 가능성 왜?
  • LG CNS, 작년 매출 6조 '역대 최대' 실적...클라우드·AI분야 고성장세
  • 내란과 극우를 어떻게 제압할 것인가
  • 아주대 연구팀, 단일 픽셀 이미지 정보 처리 할 수 있는 광센서 소자 구조 개발

지금 뜨는 뉴스

  • 1
    “이게 진짜 절경이다!”… 한반도 속 숨겨진 보물

    여행맛집 

  • 2
    이혼 10년 넘었는데 … 임원희, 아직도 前 부인 사진 간직하는 ‘이유’

    연예 

  • 3
    [WKBL] '빅3' 진안·김정은·양인영 45점…하나은행, KB스타즈 꺾고 2연승

    스포츠 

  • 4
    3월 별들의 잔치 열린다...K-게임 기대작 4종은?

    차·테크 

  • 5
    블랙핑크 지수, 오늘(6일) '유인라디오' 출연...작품·앨범 이야기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스플랩, ‘K-일러스트레이션페어’에 B2B 네트워킹 솔루션 ‘우모’ 제공
  • [우크라이나의 창] 이국에서 고향 신흥동 1가 6번지를 생각하다
  • 친기업 깜빡이 켠 정치권…'희망고문'은 안돼 [view & insight]
  • 구조개혁 집착하던 국힘, 모수개혁부터 가능성 열어
  • 이인영 '이재명 우클릭' 비판글에 김동연 맞장구…뭐랬길래
  • “역시 다르네” 디지털 트윈 활용…CT·MRI 대기일도 미리 예측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추천 뉴스

  • 1
    24기 옥순, 영수·영호·영철·영식·상철 표 싹쓸이…사상 초유 5:1 데이트

    연예 

  • 2
    '역시 연봉킹' 김하성 위상 이정도, 등번호도 쉽게 양보받았다 "TB 역사상 최고의 7번으로 자리매김할 것"

    스포츠 

  • 3
    "이천에서 하면..." LG 최고참은 왜 2년 연속 국내에서 몸 만들까, 직접 밝힌 이유

    스포츠 

  • 4
    600억 재산설 전현무, "출연료 몇천배 됐겠다"

    연예 

  • 5
    KIA만 빼고 모두의 테스형? 가족이 대만행 반대했는데 KBO 복귀는 가능할까…63홈런 매력, 유력한 시나리오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이게 진짜 절경이다!”… 한반도 속 숨겨진 보물

    여행맛집 

  • 2
    이혼 10년 넘었는데 … 임원희, 아직도 前 부인 사진 간직하는 ‘이유’

    연예 

  • 3
    [WKBL] '빅3' 진안·김정은·양인영 45점…하나은행, KB스타즈 꺾고 2연승

    스포츠 

  • 4
    3월 별들의 잔치 열린다...K-게임 기대작 4종은?

    차·테크 

  • 5
    블랙핑크 지수, 오늘(6일) '유인라디오' 출연...작품·앨범 이야기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