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공정위 작년 승소율 91.2%… ‘전부 승소’는 82.4%로 역대 최고

조선비즈 조회수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뉴스1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뉴스1

지난해 법원이 확정한 행정소송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소율이 91.2%를 기록했다. 공정위 제재의 정당성이 인정된 비율은 2001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공정위는 6일 ’2024년 공정위 소송 동향’을 발표하며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기업 등이 공정위가 부과한 과징금이나 시정명령 등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하면, 서울고등법원과 대법원을 거쳐 최종 판결을 받게 된다. 지난해 이러한 절차를 거쳐 확정된 공정위 관련 행정소송은 총 91건이었다. 이 가운데 공정위가 전부 승소한 사건은 75건, 일부 승소한 사건은 8건, 패소한 사건은 8건으로 집계됐다.

전부 승소율은 전년보다 10.6%포인트 상승한 82.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부 승소를 포함한 전체 승소율은 91.2%였다. 패소한 8건 중 6건은 과징금이 아닌 시정명령 등에 관한 소송이었다.

과징금 총액 기준으로, 공정위가 부과한 4555억원 중 98.2%에 해당하는 4474억원이 법원에서 정당성을 최종적으로 인정받았다. 취소된 과징금은 1.8%인 81억원이었다. 다만, SPC그룹에 부과된 647억원의 과징금처럼 일부 승소·패소로 인해 재산정 중인 과징금은 이번 통계에서 제외됐다.

분야별로 보면, 담합(카르텔) 사건에서 공정위는 42건 중 40건에서 전부 승소하고 1건에서 일부 승소했다. 불공정거래 사건은 9건 중 6건에서 전부 승소, 2건에서 일부 승소했다. 하도급 관련 소송 16건 중 12건에서 전부 승소, 2건에서 일부 승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공정거래 사건은 9건 중 6건에서 전부 승소했고, 2건에서 일부 승소했다.

최근 5년간 공정위 소송 승패소율 현황.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최근 5년간 공정위 소송 승패소율 현황.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지난 2022년 조달청 발주 철근계약 입찰담합 사건(과징금 2565억원)은 지난해 12월 대법원에서 공정위 전부 승소로 확정됐다. 2021년 공정위가 창신아이엔씨 부당지원 사건과 관련해 34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건도 지난해 6월 대법원에서 공정위 승소 판결이 확정됐다. 하도급업체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해 특허 등록한 사건과 관련해 LS엠트론 기술유용 사건(과징금 13억원)도 지난해 8월 대법원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면서 공정위 전부 승소가 확정됐다.

확정 판결이 내려진 사건 외에도 현재 대법원에서 심리 중인 공정위 관련 사건이 있다. 구글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사건(과징금 2249억원), 철도차량 입찰담합 사건(과징금 564억원) 등이 현재 대법원에서 최종 심리가 진행 중이다.

한편, 제너시스BBQ 가맹사업법 위반 사건(과징금 17억원)은 대법원이 공정위 전부 승소 취지로 파기환송해, 현재 서울고등법원에서 재심리가 진행 중이다.

2024년을 포함한 최근 5년간의 확정 판결을 분석한 결과, 전체 441건 중 401건에서 공정위가 전부 또는 일부 승소했다. 과징금 기준으로 보면, 공정위가 부과한 23조 876억원 중 22조 2674억원(95.0%)을 법원이 정당하다고 인정하며 확정했다. 다만, 재산정 중인 과징금은 이번 통계에서 제외됐다.

공정위는 올해 소송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 추가 확보한 6억원의 변호사 선임료 예산을 활용해 전문성을 갖춘 소송 대리인을 발굴하고, 중요 사건에는 복수의 대리인을 선임하는 등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무채색 드로잉으로 만든 미감의 파장
  • 민주당, ‘딥시크 충격’에... “AI 분야 2조 추경·병역특례” 제안
  • [메말라가는 고양 일산·파주 출판단지 상권] 핫 플레이스 명성 옛말…임대 문의 표지만 즐비
  • 창원특례시 농업기술센터 '1분기 정례브리핑'
  • 진주시여성단체협의회 '2025년 정기총회'
  • 진주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 현대화 사업으로 '스마트~'

[뉴스] 공감 뉴스

  • 한국의 자존심 “중국도 손들었다” .. 글로벌 시장 평정하는 ‘K-파워’
  • 한국형 딥시크 탄생할까
  • 엘케이캠 이창엽 대표 "혁신적인 신소재 개발로 글로벌 시장 성장에 기여할 것”
  • 이재명 대표 ‘위헌법률심판 제청’ 두고 檢 “이미 합헌 결론 난 것” vs 李측 “위헌 사례 종종 찾을 수 있어”
  • 위고페어, K-패션 브랜드 '낫 유어 로즈' 글로벌 보호…AI 기술로 위조상품 원천 차단
  • 오요안나 어머니 '내 딸 가장 괴롭힌 주범은 김가영이 아니라...' 폭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이리와 내새끼~이렇게 예쁠수가~’→20살 윙어에 반한 펩…'다이아몬드 원석+브라질의 미래'평가→벤치 앉혀놓은 감독 해고 '일화'→600억에 맨시티 품에…

    스포츠 

  • 2
    KGM 신차 “타스만 독주 끝낸다’ .. 국산 명차 귀환 소식에 소비자들 ‘환호’

    차·테크 

  • 3
    석모리 맛집 깔끔한 도하정 김포본점

    여행맛집 

  • 4
    구준엽, 직접 밝혔다… "서희원과 대만서 혼인신고"

    연예 

  • 5
    전문의들 “완치 어려운 간암, ‘이뮨셀엘씨주’ 활용 재발 억제 필요”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무채색 드로잉으로 만든 미감의 파장
  • 민주당, ‘딥시크 충격’에... “AI 분야 2조 추경·병역특례” 제안
  • [메말라가는 고양 일산·파주 출판단지 상권] 핫 플레이스 명성 옛말…임대 문의 표지만 즐비
  • 창원특례시 농업기술센터 '1분기 정례브리핑'
  • 진주시여성단체협의회 '2025년 정기총회'
  • 진주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 현대화 사업으로 '스마트~'

지금 뜨는 뉴스

  • 1
    '허슬 플레이'가 원인이 된 어깨 수술→몸값 하락…"변함 없을 것" 단호한 김하성, 이러니 TB 연봉킹이지

    스포츠 

  • 2
    KIA 김도영·위즈덤 40홈런+이것까지 도전…이승엽·스미스, 박병호·강정호는 못했지만 로맥·한유섬은 했다

    스포츠 

  • 3
    ‘커플팰리스2’ 래퍼 맥대디‧여자 2번, 결혼 가나요 [TV온에어]

    연예 

  • 4
    김종민 "따뜻한 햇살 같던 형 故 김주혁, 전 '1박2일' 큰형될 상 아냐" [텔리뷰]

    연예 

  • 5
    제니와 벨라 하디드가 푹 빠진 '이 색'

    Uncategorized 

[뉴스] 추천 뉴스

  • 한국의 자존심 “중국도 손들었다” .. 글로벌 시장 평정하는 ‘K-파워’
  • 한국형 딥시크 탄생할까
  • 엘케이캠 이창엽 대표 "혁신적인 신소재 개발로 글로벌 시장 성장에 기여할 것”
  • 이재명 대표 ‘위헌법률심판 제청’ 두고 檢 “이미 합헌 결론 난 것” vs 李측 “위헌 사례 종종 찾을 수 있어”
  • 위고페어, K-패션 브랜드 '낫 유어 로즈' 글로벌 보호…AI 기술로 위조상품 원천 차단
  • 오요안나 어머니 '내 딸 가장 괴롭힌 주범은 김가영이 아니라...' 폭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추천 뉴스

  • 1
    ‘이리와 내새끼~이렇게 예쁠수가~’→20살 윙어에 반한 펩…'다이아몬드 원석+브라질의 미래'평가→벤치 앉혀놓은 감독 해고 '일화'→600억에 맨시티 품에…

    스포츠 

  • 2
    KGM 신차 “타스만 독주 끝낸다’ .. 국산 명차 귀환 소식에 소비자들 ‘환호’

    차·테크 

  • 3
    석모리 맛집 깔끔한 도하정 김포본점

    여행맛집 

  • 4
    구준엽, 직접 밝혔다… "서희원과 대만서 혼인신고"

    연예 

  • 5
    전문의들 “완치 어려운 간암, ‘이뮨셀엘씨주’ 활용 재발 억제 필요”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허슬 플레이'가 원인이 된 어깨 수술→몸값 하락…"변함 없을 것" 단호한 김하성, 이러니 TB 연봉킹이지

    스포츠 

  • 2
    KIA 김도영·위즈덤 40홈런+이것까지 도전…이승엽·스미스, 박병호·강정호는 못했지만 로맥·한유섬은 했다

    스포츠 

  • 3
    ‘커플팰리스2’ 래퍼 맥대디‧여자 2번, 결혼 가나요 [TV온에어]

    연예 

  • 4
    김종민 "따뜻한 햇살 같던 형 故 김주혁, 전 '1박2일' 큰형될 상 아냐" [텔리뷰]

    연예 

  • 5
    제니와 벨라 하디드가 푹 빠진 '이 색'

    Uncategorized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