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도시 인천의 해수면 높이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35년간 10여㎝가 높아졌고, 지난해 밀물이 가장 높은 대조기 때는 섬 지역을 중심으로 침수 피해를 겪기도 했다.
지역에서는 인천시가 전담 조직 구성 등 이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4일 신영희(국민의힘·옹진군) 인천시의원으로부터 받은 도서지역 대조기 침수 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9월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큰 대조기 당시 옹진군 대청도와 소청도, 연평도, 승봉도 등 섬에서 총 57건의 침수 피해가 접수됐다.
피해 유형별로는 도로가 34건으로 가장 많았고 물양장(17건)과 주택(5건), 새우 양식장(1곳)이 그 뒤를 이었다.
침수 피해가 섬에 집중된 것은 해수면 상승과 관련이 깊다.
국립해양조사원 관측 결과, 국내 연안 해수면은 198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06㎜씩 높아져 총 10.7㎝ 상승했다.
해역별로 보면 인천 바다가 포함된 서해안 해수면은 연평균 3.20㎜씩 높아졌다. 동해안(3.46㎜)보다 상승세가 완만했지만 남해안(2.74㎜)에 견줘서는 가팔랐다.
인천 해수면 높이는 연평균 3.13㎜씩 올랐는데, 이는 35년간 10.96㎝가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섬 주민과 어민들은 이런 상황을 오래전부터 체감해왔다. 2년여 전 이들은 인천일보를 통해 “바다가 심상치 않다”고 털어놓기도 했다.「인천일보 2022년 8월1일자 4면 ‘어느날 파도가 몰려왔다 ①바다 목격자들의 증언’」
하지만 해수면 상승에 대한 인천시 대응책은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대조기 등 해수면이 높아지는 시기를 앞두고 상습 침수구역을 점검하거나 연안을 정비하는 데 그치고 있다.
신 의원은 이날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임시회에서 5분 발언을 통해 “해수면 상승 문제는 기후 변화로 인해 점점 심해지는데 인천시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방재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해수면 관측 체계가 미비하다. 또 자연재난과에서 기후 변화 대응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데 해수면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전문성이 부족해 체계적인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는 올해 자연재해대책법에 근거해 수립 중인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에 해수면 상승 대응 방안을 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초 현황을 조사하고 재해위험지구를 선정해 계획 수립에 들어간 상태이며 오는 7월쯤 종합계획이 완성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 수립에 중점을 둔 재해 유형은 내수(육지 쪽 수역)와 해안 재해”라며 “계획을 짜면서 다른 부서에서 추진하는 해수면 상승 관련 과업도 반영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