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의대생 집단 휴학 도미노…건국대 전원·한양대 95%·전북대 98% 동참

더 퍼블릭 조회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집단 휴학을 선언한 의대생들이 올해 1학기에도 강경한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의대 정원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는 한 복귀는 어렵다는 분위기 속에서, 일부 대학에서는 휴학 가능 인원의 90% 이상이 휴학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업계 및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주요 의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국대 의대는 휴학 가능 인원 257명 전원이 1학기 휴학 의사를 밝혔다. 전북대 의대 역시 98%인 817명이 휴학을 택했고, 한양대(95.8%), 순천향대(97%) 등도 대다수 학생이 휴학을 결정했다.

의대생들은 오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관련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휴학계 제출을 통한 대정부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의대협이 집계한 의대별 휴학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국대(100%)를 포함해 전북대(98%), 한양대(95.8%), 순천향대(97%), 한림대(99%), 아주대(98%), 고신대(96.2%) 등 주요 대학에서 휴학률이 90%를 넘는 곳이 상당수였다.

특히 전북대 의대는 전체 재학생 835명 중 98%인 817명이 1학기 휴학을 선택했으며, 예과 1학년생은 전원이 휴학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순천향대 역시 582명 중 572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했고, 97%에 달하는 555명이 휴학을 결정했다.

교육부, 2월 내 의대 정원 확정 목표…휴학 강요 논란엔 경찰 수사 의뢰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교육부는 2월 안에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하고, 휴학생 복귀 및 신입생 수업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정부는 2월 내 의대 정원을 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3월 개강 전까지 학사 운영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도권 일부 의대에서 휴학계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집단적인 압박을 가하거나, 신입생에게 개별적으로 휴학을 강요하는 사례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정부와 의대생 간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의대생들의 대규모 휴학이 실제 강행될 경우 의료계 내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는 정부와 이를 반대하는 의료계의 협의가 난항을 겪는 상황에서, 향후 추가적인 단체행동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는 의대 교육 내실화 방안 발표와 함께 의대생 복귀를 유도할 방침이지만,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정부와 의대생 간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부 대학에서는 휴학계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압박을 가하는 사례까지 발생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는 수도권의 한 의대에서 휴학계를 내지 않은 학생들을 압박하거나, 신입생들에게 개별 연락해 휴학을 강요한 사례가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 센터’에 접수됐다고 4일 밝혔다.

해당 신고에 따르면, 일부 학생들이 휴학계 제출 현황을 전체 의대생이 참여하는 온라인 매체에 반복적으로 게시하면서 심리적 압박을 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미제출 학생들에게 개별 연락을 취해 휴학을 종용하거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에서 휴학계 제출을 유도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특히 학교 측으로부터 신입생 연락처를 확보해 개별적으로 연락한 정황도 드러나면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가능성이 제기됐다. 교육부는 이를 경찰청에 수사 의뢰하고, 전국 40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 1곳 포함)에 학사 정상화를 방해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 학칙에 따라 엄정 조치할 것을 요청했다.

더 퍼블릭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 ‘고품질 감귤 생산 기반’ 조성 ‘방풍수 정비’추진 등
  • 기상캐스터의 죽음 뒤엔 약육강식 프리랜서 구조
  • 전자칠판 의혹 규명 ‘호평’… 독자 알 권리 충족 분발 ‘주문’
  • "카니발보다 큰데 연비가 15km/L"…유지비 좋은 패밀리카 정체
  • '비명계' 김경수·이광재, 이재명에 '개헌' 압박
  • 인천 해수면 상승 대응책 부족

[뉴스] 공감 뉴스

  • "전한길 '헌재 쓸어버리자' 말씀에 눈물… 사제 폭탄 준비"
  • [물꼬 튼 송도유원지 개발] (하) 폐기물로 채운 매립지...처리비 수천억
  • [의정 갈등 1년...인천 의료 향방은] 해 넘겨도 전공의 복귀 안갯속
  • 70% 급증 “전 세계가 반했다” .. 역대급 실적 발표에 한국도 ‘깜짝’
  • 삼성부터 스타트업까지 다 만난 올트먼...'정치불안' 정부는 패싱?
  • "한국형 딥시크 모델만 10개, GPU 3만장 도입 앞당길 것"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 “미국·영국 씹어먹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시장서 최고의 자동차 입증
  • “최대 350만원을 할인해준다고?” 자동차, 2월 가기 전에 사야 하는 이유
  • “국산차보다 싼 값에 볼보산다” 333만원 인하된 EX30 출시
  • “캐스퍼, 코나 전기차 환불각!” 2천만원대 소형 전기차 출격하나
//php echo do_shortcode('[yarpp]'); ?>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백종원이 사랑하는 단골 중식집, 인천 노포 중화요리 '산동포자'

    여행맛집 

  • 2
    일본 여행 시 안 사오면 손해! 2025 일본 쇼핑 리스트 추천

    여행맛집 

  • 3
    ‘중동 공략 속도’ 네이버, 사우디서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 밸류체인 소개

    차·테크 

  • 4
    웹젠, 게임 개발사 ‘게임투게더’에 전략적 투자

    차·테크 

  • 5
    쥐포볶음 만드는 법 볶음요리 반찬 레시피 도시락 반찬

    여행맛집 

[뉴스] 인기 뉴스

  • ◆ ‘고품질 감귤 생산 기반’ 조성 ‘방풍수 정비’추진 등
  • 기상캐스터의 죽음 뒤엔 약육강식 프리랜서 구조
  • 전자칠판 의혹 규명 ‘호평’… 독자 알 권리 충족 분발 ‘주문’
  • "카니발보다 큰데 연비가 15km/L"…유지비 좋은 패밀리카 정체
  • '비명계' 김경수·이광재, 이재명에 '개헌' 압박
  • 인천 해수면 상승 대응책 부족

지금 뜨는 뉴스

  • 1
    손흥민→배준호, 쿠팡플레이로 본다…카라바오컵·FA컵 연속 생중계

    스포츠&nbsp

  • 2
    '유림핑' 윤경호, 생애 첫 SNS 개설...수줍게 시작한 첫 게시물은? "나는 윤경호다!"

    연예&nbsp

  • 3
    '올해도 변함없이' 피츠버그 배지환, 3년째 미혼모 생활시설에 기부 실천 "작게나마 힘이 되고 싶다"

    스포츠&nbsp

  • 4
    '트라웃↔바윗주 혹은 콜↔스킨스' 충격의 돈치치 트레이드, MLB에서 일어난다면?

    스포츠&nbsp

  • 5
    “카니발 넘어선 존재감”.. 밴 개념을 뒤집은 신차에 아빠들 ‘관심 폭주’

    차·테크&nbsp

[뉴스] 추천 뉴스

  • "전한길 '헌재 쓸어버리자' 말씀에 눈물… 사제 폭탄 준비"
  • [물꼬 튼 송도유원지 개발] (하) 폐기물로 채운 매립지...처리비 수천억
  • [의정 갈등 1년...인천 의료 향방은] 해 넘겨도 전공의 복귀 안갯속
  • 70% 급증 “전 세계가 반했다” .. 역대급 실적 발표에 한국도 ‘깜짝’
  • 삼성부터 스타트업까지 다 만난 올트먼...'정치불안' 정부는 패싱?
  • "한국형 딥시크 모델만 10개, GPU 3만장 도입 앞당길 것"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 “미국·영국 씹어먹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시장서 최고의 자동차 입증
  • “최대 350만원을 할인해준다고?” 자동차, 2월 가기 전에 사야 하는 이유
  • “국산차보다 싼 값에 볼보산다” 333만원 인하된 EX30 출시
  • “캐스퍼, 코나 전기차 환불각!” 2천만원대 소형 전기차 출격하나

추천 뉴스

  • 1
    백종원이 사랑하는 단골 중식집, 인천 노포 중화요리 '산동포자'

    여행맛집 

  • 2
    일본 여행 시 안 사오면 손해! 2025 일본 쇼핑 리스트 추천

    여행맛집 

  • 3
    ‘중동 공략 속도’ 네이버, 사우디서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 밸류체인 소개

    차·테크 

  • 4
    웹젠, 게임 개발사 ‘게임투게더’에 전략적 투자

    차·테크 

  • 5
    쥐포볶음 만드는 법 볶음요리 반찬 레시피 도시락 반찬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손흥민→배준호, 쿠팡플레이로 본다…카라바오컵·FA컵 연속 생중계

    스포츠 

  • 2
    '유림핑' 윤경호, 생애 첫 SNS 개설...수줍게 시작한 첫 게시물은? "나는 윤경호다!"

    연예 

  • 3
    '올해도 변함없이' 피츠버그 배지환, 3년째 미혼모 생활시설에 기부 실천 "작게나마 힘이 되고 싶다"

    스포츠 

  • 4
    '트라웃↔바윗주 혹은 콜↔스킨스' 충격의 돈치치 트레이드, MLB에서 일어난다면?

    스포츠 

  • 5
    “카니발 넘어선 존재감”.. 밴 개념을 뒤집은 신차에 아빠들 ‘관심 폭주’

    차·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