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정신아 대표 “우리가 가장 잘하는 AI 서비스 선보일 것”
”
카카오가 가장 잘하는, 일상에 나도 모르는 사이 스며드는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인공지능(AI) 분야 선도 기업인 오픈AI(Open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카카오가 올해 선보일 AI ‘카나나’에 힘을 실었다.
오픈AI가 국내 기업 중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앞으로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양사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한다. 양사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목표 아래 협력을 논의해 왔다.
정 대표는 “카카오가 잘하는 걸 계속 하는 것이 성공방정식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모바일 시대, 고객에 필요한 서비스를 가장 편하면서도 가장 잘 제공하겠다”고 오픈AI와 손잡은 배경을 설명했다.
올트먼 CEO도 “한국은 가진 자산들이 특별해 AI가 확산되기에 적합하다”면서 “카카오와 오픈AI의 파트너십, 올해 출시할 카나나 뿐만 아니라 카카오와 좋은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싶다. 다양하게 정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응원해달라”고 말했다.
카카오의 AI서비스 카나나에는 오픈AI의 LLM(거대언어모델) 챗GPT를 적용, 개인 비서처럼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커머스를 비롯해 모빌리티, 금융 등 카카오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에 챗GPT를 적용하고,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한다. 오픈AI의 모델도 함께 활용, 카나나가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다.
카카오가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것은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강화의 일환이다. 카카오는 이미 출시된 AI 모델 중 서비스에 최적합한 모델을 재가공해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택했다. LLM 개발에 드는 시간과 막대한 비용을 최대한 줄여 AI 서비스의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포석이다. ‘소버린 AI(국가 주권 AI)’를 주장하는 네이버와 상반된다.
이미 카카오는 구글 클라우드와도 협업 중이다. 카카오의 자체 AI 서비스인 ‘카나나’를 개발하는 과정에 구글 클라우드의 6세대 TPU(텐서처리장치) ‘트릴리움’을 활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GPU(그래픽처리장치) 공급 차질이 생기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제를 선택한 것이다. 카카오는 TPU 3세대부터 사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가 오픈AI와 협업한다는 소식은 이미 전날 전해졌다. 이에 이날 주인공인 카카오보다 동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에 이목이 쏠렸다. 카카오는 지난해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 AI 2024’에서 이미 AI ‘카나나’를 소개한 바 있어서다.
업계는 단순히 오픈AI의 고객사 하나를 위해 샘 올트먼 CEO가 직접 기자간담회까지 참석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반응했다. 올트먼의 속내가 ‘카카오 챙기기’보다는 언론의 주목을 받기 위함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중국발 가성비 AI ‘딥시크’ 열풍 속 세간의 관심을 다시 오픈AI로 가져오고 투자 유치와 고객사 확대에도 도움을 받으려는 포석이라는 것.
올트먼과 오픈AI는 주요 인사와의 만남이나 협력 내용에 대한 비공개 원칙을 세웠다. 이날 오픈AI가 주최한 개발자 콘퍼런스 ‘빌더 랩’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재계 인사와의 만남이 모두 비공개로 이뤄졌다.
오픈AI는 현재 새로운 투자 유치를 모색 중이고 올트먼 CEO는 이를 위해 몇 주간 전 세계 여러 국가를 돌며 기업 관계자들과 면담할 예정이다. 딥시크 등 후발 주자가 치고 올라오는 상황에서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번 순방에서 일본, 한국에 이어 인도, 두바이, 독일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