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불황으로 취업난이 계속되면서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목표 기업을 설정하기보다 어디든 합격하면 다니겠다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은 3일 신입 취업준비생 464명을 대상으로 ‘올해 취업 목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목표로 하는 기업 형태에 대해 묻는 문항에 55.2%가 ‘취업만 되면 어디든 관계없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스타트업이 15.1%로 2위를 차지했다. 중견기업 12.1%, 공기업·공공기관 8.4%, 대기업 7.3%, 외국계 기업 1.9% 순이었다.
기업 형태와 무관하게 취업하고 싶은 이유에 대해서는 ‘빨리 취업해야 해서’가 55.1%(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길어지는 구직활동에 지쳐서’가 39.1%, ‘남들보다 스펙 등 강점이 부족해서가 31.3%, ‘경기가 좋지 않아 채용이 줄어들어서’는 28.5%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목표 기업에 들어가기 힘들 것 같아서'(12.9%), ‘기업 형태보다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0.5%), ‘일단 취업 후 이직할 계획이라서'(10.5%) 등의 답변도 있었다.
목표 기업을 설정한 취준생들(208명)은 기업을 고를 때 연봉(24%)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라밸 보장 여부가 14.4%로 2위였고 복리후생이 13.9%, 개인 커리어 발전 가능성은 12%로 뒤를 이었다. 정년 보장 등 안정성(10.6%), 조직문화 및 분위기(9.6%), 근무지 위치(6.3%) 등도 선택 기준으로 꼽혔다.
올해 취준생들이 목표로 하는 연봉은 성과급을 제외한 기본급 기준 평균 3394만 원이었다.
가장 높은 구간은 2500만 원 이상∼3000만 원 미만으로 36.2%가 선택했다. 그 뒤는 3000만 원 이상∼3500만 원 미만(30.8%)이었다. 3500만 원 이상∼4000만 원 미만은 17.2%, 4000만 원 이상∼4500만 원 미만은 6.9%, 4500만 원 이상∼5000만 원 미만은 4.1%로 집계됐다.
목표 기업에 입사하더라도 이직을 준비하겠다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4명(37.3%)이 이같이 답했다. 이들은 평균 1.8년 근무한 뒤 이직을 준비할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1년∼1년 6개월 미만(19.7%), 2년 6개월∼3년 미만(19.7%), 2년∼2년 6개월 미만(15%), 6개월∼1년 미만(13.3%), 1년 6개월∼2년 미만(12.7%), 6개월 미만(9.8%), 3년 이상(9.8%) 순으로, 90.2%가 3년 미만 근무 후 이직을 준비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