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이 파란을 일으키며 일반 이용자 사이에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곳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딥시크의 AI를 사용할 경우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유출 등 문제가 크다는 판단에서다.
2일(현지 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최근 주정부가 지급한 기기에서 딥시크의 AI 사용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딥시크 AI가 저비용·고성능으로 업계 전반에 충격을 몰고 온 가운데 미국 주정부 차원에서 금지령을 내린 것은 텍사스가 처음이다. 애벗 주지사는 이와 함께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훙수(영문명 레드노트), 중국 바이트댄스의 틱톡 자매 앱 레몬8 등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애벗 주지사는 성명에서 “텍사스는 중국 공산당이 데이터 수집 AI와 소셜미디어 앱을 통해 우리 주의 중요한 인프라에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주정부 기관과 중요 인프라, 지적재산, 개인정보를 다루는 직원들은 중국 공산당의 악의적인 스파이 활동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고 밝혔다.
|
앞서 미국에서는 해군이 딥시크 AI에 보안 우려를 제기하며 장병들의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나사)도 “(딥시크 서버가) 미국 외부에서 운영돼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플랫폼 접근을 차단했다.
딥시크 차단 정책들은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먼저 시행됐다. 대만 디지털부가 공공 부문 직원들에게 안보 위험을 이유로 딥시크를 금지했고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도 개인정보 사용의 불투명성 문제를 제기하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일본에서도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이 최근 한 강연장에서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불식되기 전까지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 시 유의해야 한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이는 딥시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가운데 사전에 접근 자체를 차단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최근 딥시크 앱은 미국 애플 앱스토어의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밀어내고 1위에 올랐다. CNBC방송은 “딥시크 앱의 일평균 사용자는 오픈AI의 챗GPT에 크게 뒤지지만 최근 이용자들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서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조 바이든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 특별고문을 지낸 맷 펄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은 종이에 쓰인 것만큼의 가치도 없다”며 “딥시크 사용자는 입력 패턴을 통해 모든 기기에서 추적될 수 있으며 광고주가 쉽게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틱톡을 금지해야 했던 것과 같은 법률에 따라 딥시크를 금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