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국내 노인 빈곤율이 2년째 악화되고 있다. 특히 76세 이상 노인의 경우 2명 중 1명은 빈곤층에 속했고 남성보다 여성 노인들이 더 빈곤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의 e-나라지표에 따르면 2023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노인 빈곤율은 38.2%였다.
가처분소득은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하며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제외한 나머지 소득(연금, 기초생활수급비 등 국가에서 지급하는 소득)을 더한 금액으로 추산한다.
노인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상대 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2023년 기준 노인 빈곤율(38.2%)을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31.8%, 여성 43.2%로 여성 노인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노인 빈곤율은 2020년(39.1%) 첫 30%대에 진입해 2021년(37.6%)까지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22년 38.1%로 소폭 증가했다. 이후 2023년 38.2%를 기록하며 국내 노인 빈곤율은 2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으로, 40%에 달하는 수치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OECD 회원국 평균 노인 빈곤율은 14.2%로 한국의 3분의 1 수준이다.
특히 한국 노인의 빈곤율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였다. 76세 이상 노인 2명 중 1명은 빈곤층에 속하는 셈이다.
소득 불평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지니계수’ 역시 노인 인구에서 두드러졌다.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전체 인구(0.311)보다 높았다. 지니계수는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의미다.
한편 빈곤율과 더불어 노인 파산 역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국 법원에 접수된 개인 파산 신청자 10명 중 4명 이상이 60세 이상으로, 최근 5년간 파산 신청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1%부터 지난해 41.3%까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