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와 독자 반도체 개발을 선언했다.
올트먼 CEO는 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AI 모델에 대해 “새롭지 않다”고 평가 절하했다.
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스마트폰을 대신할 AI 전용 기기 개발에 대해 “협력을 통해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아이폰을 디자인한 애플의 전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와 손잡고 AI 기기를 개발중이며 시제품 출시까지는 앞으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AI는 컴퓨터와 접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 단말기가 필요하다. 음성 조작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닛케이는 오픈AI가 챗GPT와 이에 최적화한 기기를 통해 AI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시장을 모두 장악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해석했다.
올트먼은 또 생성형 AI 개발과 이용의 핵심 요소인 반도체 개발에 대해서도 “우리 회사에서 대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체 개발하는 반도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센터에 자사 설계 제품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니케이는 전했다.
한편 올트먼은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에 대해 “성능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며 “오픈AI에는 이전부터 이 수준의 모델은 있었고 앞으로도 더 좋은 모델을 계속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근 딥시크는 저비용 고효율의 AI 모델 ‘딥시크-V3’와 ‘딥시크-R1’ 등을 출시해 글로벌 AI 시장에 반향을 일으켰다. 이에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올트먼은 또 오픈AI가 일본 소프트뱅크그룹(SBG)과 일본에서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전국에서 AI 개발용 데이터센터와 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시설을 건설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이날 도쿄에서 일본 기업 500개 사 이상과 모임을 갖고 운수, 제약, 금융, 제조, 물류 등 업종 기업에 사업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 각 기업의 데이터를 이용해 산업용 AI도 개발할 계획이다.
올트먼은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함께 이날 도쿄 총리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면담하고 이 같은 AI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오픈AI가 지난달 소프트뱅크그룹과 함께 발표한 AI 인프라 투자의 일본판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오픈AI는 소프트뱅크·오라클과 함께 AI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고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약 729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