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지리산과 설악산·오대산·월악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습지 18곳이 추가로 발견됐다고 국립공원공단이 2일 밝혔다.
그동안 국립공원에는 54곳의 내륙 습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추가 확인으로 국립공원 내 습지는 총 72곳으로 늘어났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지난해 지형 자료를 분석해 습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추려낸 뒤 현장 조사를 진행해 새 습지들을 찾아냈다.
습지는 야생 생물 보금자리이자 침엽수림에 견줘 탄소를 1.8배 더 저장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흡수원이다. 이번에 새로 발견한 습지는 대부분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의 급경사지 또는 폐경지 주변에 위치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발견된 습지를 포함한 전체 습지 72곳에 대해 육화·건조화 진단 평가를 연내 실시해 소실이 우려되는 습지는 물막이 시설 설치 등 보호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육화·건조화 진단 평가는 수원, 지하수면 높이, 토양 함수율, 천이 등의 지표를 활용해 습지의 육화·건조화 상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안정·양호·위기·심각 4단계로 구분해 평가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탄소 저장량이 높은 소중한 자원인 습지를 지속적으로 찾아내고 습지 상태의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활동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