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2·3 계엄 이후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의 희비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서울경제 조회수  

12·3 계엄 이후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의 희비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12·3 계엄 이후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의 희비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월 30일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이 인파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요즘 인천국제공항은 붐벼도 너무 붐빈다. 기자가 직접 경험한 바도 그랬다. 출국을 위해 두 시간 여유를 두고 도착했어도 간신히 비행기를 탈 수 있었다. 새벽인데도 그랬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최근 비슷한 경험을 많이 했을 듯하다.

흥미로운 것은 12·3 계엄 이후 관광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과 어긋났다는 점이다. 적어도 아웃바운드(우리 국민의 해외 관광) 시장은 그랬다. ‘계엄은 딴 나라 이야기’라든지 아니면 ‘계엄 때문에 다른 나라로 가야’ 한다는 뜻도 담겨있다. 물론 인바운드(방한 외국인 관광) 시장은 당연히 위축됐다. 서울 사대문 안에서 다니는 외국인은 확실히 줄었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달 31일 발표했던 한국관광통계가 이를 방증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한국을 찾은 외래(외국인) 관광객은 127만명에 그쳤다. 한국 관광의 정상화 수준을 평가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 2019년 12월과 비교하면 87% 수준이었다.

앞서 지난해 11월 외래 관광객 숫자는 136만명으로 2019년 동월의 93% 수준이었다. 12월은 6%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해 말부터 한국 사회를 흔들고 있는 12·3 계엄 사태의 여파가 분명하다. 때문에 지난해 외래 관광객은 총 1637만명에 그치면서 2019년(1750만명) 대비 94%에 불과했다.

그러면 우리 국민의 해외 관광 수준은 어떨까.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민의 해외 관광객은 272만명으로, 2019년 동월 대비 116% 수준이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앞서 지난해 11월에 239만명으로, 2019년 동월 대비 114%였었다. 12·3 계엄이 우리 국민의 해외 여행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 분명하다. 덕분에 지난해 우리 국민 해외관광객은 2869만명으로, 2019년(2871만명) 대비 거의 100%를 회복했다.

한국의 관광 경쟁력은 중요한 경쟁 상대인 일본에 뒤진다. 일단 숫자로 보면 그렇다.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3687만명의 외래 관광객을 받았는데 이는 2019년(3188만명)보다 15.6%가 증가한 것이다. 희한하게 일본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1301만명에 그치면서 2019년(2008만명)보다 무려 35.2%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일본은 대규모 관광 흑자, 한국은 관광 적자다. 덧붙여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은 882만명인 반면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은 322만명에 불과했다. 한일 간에도 한국이 관광 적자다.

물론 다른 각도도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 수치는 일본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의 44% 수준이었다. 이것은 한국 인구(5122만명, 지난해 12월말 기준)과 일본 인구(1억2052만명, 지난해 8월말 기준)의 비율인 43%와 비슷하다. 특히 외래 관광객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 한국(남한) 면적(10.0만㎢)과 일본 면적(37.8만㎢)의 26%보다는 훨씬 나은 것이다.

즉 한국의 외래 관광객 유치 실력이 일본에 비해서 나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물론 그럼에도 국민의 해외 관광객에서는 차이가 많이 난다. 한국인들이 일본인보다 해외 여행을 훨씬 많이 한다는 의미다. 일부에서는 일본인이 과거 버블 시대에 해외 여행을 많이 다녀와서 이제는 바다를 건널 생각을 안 하게 됐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별로 신빙성은 없다.

12·3 계엄 이후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의 희비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12·3 계엄 이후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의 희비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지난해 12월 26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9차 국가관광전략회의가 진행중이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즉 한국관광 시장의 경쟁력을 높여 우리 국민들이 국내에서 안정감을 찾고 소비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계엄 여파도 빨리 해소해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를 길게 했다. 관광 담당인 문화체육관광부 뿐만 아니라 정부 전체와 지방자치단체, 여행업계가 함께 힘써야 할 일이다. 물론 해외여행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각자의 견문을 넓힐 수 있고, 특히 아웃바운드로 수익을 올리는 여행업계 규모도 작지 않다.

그럼에도 한국내 관광 시장의 경쟁력이 강화돼야 한다는 당위는 바뀌지 않는다. 당연히 우리 국민의 해외관광보다 국내관광이 훨씬 많은 부가가치를 우리 땅에 남긴다. 국민 해외관광 몰이가 더 돈이 된다는 일부 여행사나 TV여행 프로그램, 언론계의 인식도 바뀔 필요가 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치솟는 불길...무주 덕유산 설천봉 정상 '상제루' 화재로 전소 (사진 4장)
  • ‘한달 새 7번째 거부권’ 최상목에 동아일보 “5년 임기 노태우와 나란히”
  • 구기자 고품질 생산 비닐하우스 재배품종은 화수가 적합
  • 환송 속 출항한 노적봉함…'코브라골드' 다국적 훈련 참가
  • 광명 SK슈가글라이더즈, 8연승 질주
  • 인천도시공사, SK호크스에 져 3연승 실패

[뉴스] 공감 뉴스

  • 리터당 22km 달리는 데 1810만원…."여보, 이 미니밴 꼭 사자"
  • 트럼프, 加·中·멕시코에 전면관세 강행…글로벌 통상전쟁
  • 성남산업진흥원, 정책 사업 지침·행정 절차 27건 개선
  • 中 딥시크발 AI 혁신에 흔들린 K반도체… 소프트웨어 기업의 부상 [AI PRISM*주간 주식 투자자 뉴스]
  • 욕설문자 공개·국적 의혹제기...'사분오열' 탄핵반대 극우집회
  • 글로벌 경제와 통상 갈등… 미국의 독주와 AI 패권 변화 [AI PRISM*주간 글로벌 투자자 뉴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php echo do_shortcode('[yarpp]'); ?>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반려동물 옆 가장 가까이 있는 히어로 '수의사'

    연예 

  • 2
    "3월 콘서트 연다" 지드래곤, 태양 앙코르콘서 깜짝 스포 [MD이슈]

    연예 

  • 3
    김유정, 산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미녀…선녀인가요?

    연예 

  • 4
    토트넘 이적 거부 '빅클럽 판독기', 맨유가 영입 도전…바이에른 뮌헨과 이적 협상

    스포츠 

  • 5
    “영원히…” 김연아가 ‘워싱턴DC 여객기 희생자’ 피겨 선수단을 추모했고 슬픔이 가득 차오른다

    연예 

[뉴스] 인기 뉴스

  • 치솟는 불길...무주 덕유산 설천봉 정상 '상제루' 화재로 전소 (사진 4장)
  • ‘한달 새 7번째 거부권’ 최상목에 동아일보 “5년 임기 노태우와 나란히”
  • 구기자 고품질 생산 비닐하우스 재배품종은 화수가 적합
  • 환송 속 출항한 노적봉함…'코브라골드' 다국적 훈련 참가
  • 광명 SK슈가글라이더즈, 8연승 질주
  • 인천도시공사, SK호크스에 져 3연승 실패

지금 뜨는 뉴스

  • 1
    [리뷰] 이번에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수작 매트로배니아 게임 ‘엔더 매그놀리아’

    차·테크&nbsp

  • 2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nbsp

  • 3
    주가 출렁이게 만든 딥시크 충격…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할까

    차·테크&nbsp

  • 4
    나 지금 떨고 있니? 우려가 현실로! 레알 마드리드 vs 맨시티, 챔스 16강 PO 맞대결...김민재 vs 양현준 '코리안 더비'도 성사

    스포츠&nbsp

  • 5
    “매니저 190km 과속…” 큰 교통사고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난 고명환의 깨달음에 마음이 묵직해진다

    연예&nbsp

[뉴스] 추천 뉴스

  • 리터당 22km 달리는 데 1810만원…."여보, 이 미니밴 꼭 사자"
  • 트럼프, 加·中·멕시코에 전면관세 강행…글로벌 통상전쟁
  • 성남산업진흥원, 정책 사업 지침·행정 절차 27건 개선
  • 中 딥시크발 AI 혁신에 흔들린 K반도체… 소프트웨어 기업의 부상 [AI PRISM*주간 주식 투자자 뉴스]
  • 욕설문자 공개·국적 의혹제기...'사분오열' 탄핵반대 극우집회
  • 글로벌 경제와 통상 갈등… 미국의 독주와 AI 패권 변화 [AI PRISM*주간 글로벌 투자자 뉴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추천 뉴스

  • 1
    반려동물 옆 가장 가까이 있는 히어로 '수의사'

    연예 

  • 2
    "3월 콘서트 연다" 지드래곤, 태양 앙코르콘서 깜짝 스포 [MD이슈]

    연예 

  • 3
    김유정, 산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미녀…선녀인가요?

    연예 

  • 4
    토트넘 이적 거부 '빅클럽 판독기', 맨유가 영입 도전…바이에른 뮌헨과 이적 협상

    스포츠 

  • 5
    “영원히…” 김연아가 ‘워싱턴DC 여객기 희생자’ 피겨 선수단을 추모했고 슬픔이 가득 차오른다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리뷰] 이번에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수작 매트로배니아 게임 ‘엔더 매그놀리아’

    차·테크 

  • 2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 

  • 3
    주가 출렁이게 만든 딥시크 충격…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할까

    차·테크 

  • 4
    나 지금 떨고 있니? 우려가 현실로! 레알 마드리드 vs 맨시티, 챔스 16강 PO 맞대결...김민재 vs 양현준 '코리안 더비'도 성사

    스포츠 

  • 5
    “매니저 190km 과속…” 큰 교통사고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난 고명환의 깨달음에 마음이 묵직해진다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