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각) 취임 직후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이라고 부르며 첫 임기 때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우호적인 관계였음을 밝혀 대화 재개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도중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는 나를 좋아했다. 나는 그를 좋아했고 매우 잘 지냈다”고 자신과 김 위원장의 관계를 설명했다.
이어 “당시 북한은 엄청난 위협으로 여겨졌다. 이제 그는 뉴클리어 파워(Now, he is a nuclear power)다. 우리는 잘 지냈다. 내가 돌아온 것을 그가 반기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언급은 2017년 백악관을 떠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당시 첫 임기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요 안보 위협으로 북한을 지목한 것처럼 이날 퇴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어떤 위협을 지목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난 우리에게 지금 많은 위협이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북한은 잘 풀렸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된 자리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다.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은 상대 국가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본다는 의미다.

역대 미국 정부의 당국자들은 ‘핵보유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하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어 이 표현을 자제해왔다.
앞서 국방부 장관에 지명된 피트 헤그세스가 지난 14일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에 대해 “핵보유국”이란 용어를 사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역대 미국 정부가 유지해 온 북한 비핵화 목표를 수정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난 그(김정은)가 엄청난 콘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많은 해안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개발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북한의 부동산 입지가 훌륭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 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에게 해안가에 콘도를 지으라고 권한 적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