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높아진 토요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차종 절반 판매 제한

토요타가 일본 내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 라인업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10개 모델의 판매를 제한하고 있다.
예상 뛰어 넘는 인기로 토요타 판매 제한
닛케이신문은 11일 보도를 통해 일본 내 토요타 취급 판매점 조사 결과, 지난 11월 중순 기준 차종의 약 절반에 대한 주문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제한 모델은 아쿠아, 알파드, 벨파이어, 시엔타, 랜드크루저 300 등이다.

더욱이 현재 판매 중인 중형 SUV 해리어의 경우 4개월, 프리우스는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년의 대기 기간이 필요하다. 이 차량들 또한 수급 문제로 인해 판매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닛케이는 일본 내 다른 완성차 업체들과 달리 토요타가 차종별 판매 제한을 건 원인으로 생산 능력을 넘어서는 수요에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발생한 반도체 공급난에도 불구하고 토요타는 예약 판매를 지속했다. 닛케이 신문의 분석에 따르면 이로 인해 차량 인도 지연이 발생했으며 결국 차량 판매 제한에도 영향을 미쳤다.
내년 봄 판매 정상화 가능성
토요타는 일본에서 2023년도(2023년 4월~2024년 3월)에 2019년도의 330만 대보다 다소 많은 334만 대 생산을 계획했다. 다만 올해 더욱 높아진 자사 차량 인기는 예상하지 못했다.
일본자동차판매협회 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토요타의 시장 점유율은 53%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증가한 수치다.

한편 닛케이는 내년 봄 토요타 판매 정상화 가능성을 높게 봤다. 다만 소비자들이 원하는 차량을 구입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