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입국자가 국내 첫 확진 판정을 받은 지 5년, 코로나19는 공공의료의 시계를 거꾸로 돌려놓았다. 신종 바이러스 대응 최전선에서 방어막 구실을 했던 인천의료원은 운영난에 허덕이고,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도 답보 상태에 놓였다. 일상은 제자리를 찾았지만 공공의료 위상은 다시 흔들리고 있다.
19일 질병관리청과 인천시 자료를 보면 2020년 1월20일 인천의료원에 입원 중이던 중국 국적 여성이 국내 최초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국내 1호 확진자는 인천공항 검역 단계에서 의심 증상을 보여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된 상태였다. 그리고 한 달여 뒤 부평구 거주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가 본격화했다.
코로나19는 2023년 8월31일에야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됐다. 인천공항에서 유입된 첫 번째 확진 사례를 시작으로 전수 감시가 이뤄진 3년 7개월여 동안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전국 3457만2554명, 인천 199만1892명에 달했다.
방역 조치에 가로막혔던 일상은 회복됐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주목받은 공공의료는 설 자리를 잃었다. 특히 국내 1호 확진자 완치를 이끌어내며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가동됐던 인천의료원은 운영난에 빠졌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이었던 2019년 83.4%였던 인천의료원 병상 가동률은 2023년 48.9%로 떨어졌다. 지난해 추정치 또한 66% 수준에 그친다. 진료 실적이 회복되지 않으면서 의료 수익과 지출로 계산한 의료 손익만 놓고 보면 적자 규모는 2019년 81억8200만원에서 2023년 277억5400만원으로 치솟았다.
의료직 인력도 지난해 9월 말 기준 248명으로, 정원 309명에 한참 못 미친다. 지난해 인천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인천 공공의료 환경 개선 연구회’를 이끌었던 장성숙(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은 “입원 병동 전체를 활용하며 코로나19 최일선에서 전력을 다하다 보니 인천의료원 정상화가 늦어졌다. 정부 손실보상금마저 끊겼다”며 “공공의료를 강화하려면 인력 확보가 중요한데 의료진도 떠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공공의료는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과 함께 정책 우선순위에서도 밀렸다. 인천 공공의료 병상 수는 2022년 기준 1361개로, 전체 의료기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17%에 그친다. 전국 평균 9.53%에 못 미치는 최하위 수준이다. 하지만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반환 부지에 400병상 규모로 시가 설립하려는 제2의료원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요성이 떠오른 감염병 전문병원도 마찬가지다. 전문병원은 권역별로 전국에 5곳이 선정됐는데, 정부는 2022년을 끝으로 추가 지정에 손 놓고 있다. 시 감염병관리과 관계자는 “인구 밀도와 공항 인접도, 신종 감염병 유입 경로 등을 고려하면 전문병원 설립이 시급하다”며 “인천 감염병 전문병원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가 정부 예산에 반영되도록 건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댓글0